RHCE
mount
으랏차
2009. 6. 2. 11:45
리눅스 상에서 하드웨어에 접근하려면 mount 명령으로 접근해야 내용을 볼 수 있다.
mount의 개념은 하드웨어를 읽을 수 있게 연결해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하드 디스크를 추가로 장착하거나, usb메모리를 꽂거나,(X-window환경은 자동으로 mount를 해준다.) 파티션을 추가로 생성할 때 등등 새로운 하드웨어 리소스가 생겼으면 mount를 해주어야 한다.
mount명령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mount [옵션] [디바이스명] [mount point]`
/etc/fstab은 부팅할 때 mount 정보를 제공해서 부팅할 때마다 mount명령을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준다.
즉, mount를 계속해야하는 디바이스는 /etc/fstab에 등록하면 되겠다.
`mount -a`명령은 /etc/fstab의 정보를 모두 mount하는 명령이다.
mount의 개념은 하드웨어를 읽을 수 있게 연결해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하드 디스크를 추가로 장착하거나, usb메모리를 꽂거나,(X-window환경은 자동으로 mount를 해준다.) 파티션을 추가로 생성할 때 등등 새로운 하드웨어 리소스가 생겼으면 mount를 해주어야 한다.
mount명령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mount [옵션] [디바이스명] [mount point]`
/etc/fstab은 부팅할 때 mount 정보를 제공해서 부팅할 때마다 mount명령을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준다.
즉, mount를 계속해야하는 디바이스는 /etc/fstab에 등록하면 되겠다.
`mount -a`명령은 /etc/fstab의 정보를 모두 mount하는 명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