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코드 체계
1 코드의 정의와 필요성
1.1 코드의 정의
- 정보처리 대상 개체를 문자, 숫자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것
- 자료저장 면적 축소, 식별용이, 기억용이 목적으로 사용
1) 판별하기 편리한 대체부호
2) 명사를 과학적으로 부호화, 간략화한 것
3) 서류 내용 표현을 위한 계통적 약속부호
4) 데이터를 기계적, 효과적 처리하도록 구성한 특정부호
1 코드의 정의와 필요성
1.1 코드의 정의
- 정보처리 대상 개체를 문자, 숫자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것
- 자료저장 면적 축소, 식별용이, 기억용이 목적으로 사용
1) 판별하기 편리한 대체부호
2) 명사를 과학적으로 부호화, 간략화한 것
3) 서류 내용 표현을 위한 계통적 약속부호
4) 데이터를 기계적, 효과적 처리하도록 구성한 특정부호
1.2 코드의 필요성
- 업무처리상의 필요성
- 기계상의 필요성
업무처리상의 필요성 기계상의 필요성
1) 배열 기능 1) 데이터를 구분하는 코드
2) 분류 기능 2) 작업을 구분하는 코드
3) 처리의 효율성 3) 체크 코드
4) 식별 기능
5) 간소화 기능
6) 기계처리의 용이성
7) 적은 자릿수
8) 표의성
9) 분류의 편의성
10) 확장성
11) 고유성, 유일성
1.3 코드의 기능
1) 분류기능
2) 유형화기능(Group화 기능)
3) 식별(표현)기능
① 작업 기능
② 관리 기능
1) 분류기능
2) 유형화기능(Group화 기능)
3) 식별(표현)기능
① 작업 기능
② 관리 기능
1.4 코드의 채택 기준
1) 분류의 대상영역에 따른 고려사항
2) 사용자에 따른 고려사항
3) 분류 담당자에 따른 고려사항
1) 분류의 대상영역에 따른 고려사항
2) 사용자에 따른 고려사항
3) 분류 담당자에 따른 고려사항
2 코드의 설계상의 유의점
1) 일관성 5) 항구성
2) 간결 6) 기억용이
3) 공통성 7) 각 PART는 동격적, 대립적
4) 융통성 8) 원칙적으로 숫자 사용
1) 일관성 5) 항구성
2) 간결 6) 기억용이
3) 공통성 7) 각 PART는 동격적, 대립적
4) 융통성 8) 원칙적으로 숫자 사용
3 코드 설계의 순서
1) 분류항목 열거(항목선정)
2) 대 분류, 중 분류, 소 분류로 계통도 작성(코드 목적 결정 : 식별, 배열, 분류집계)
3) 개개의 명칭을 일람표로 기입(사용범위 결정)
4) 코드화 항목의 데이터 건수, 증가를 예견, 일람표에 코드 표기(확장성)
5) 코드 자릿수 결정.
6) 코드 관련업무와 사용범위(사내, 국가표준 등) 결정.
7) 사용 기간 결정.
8) 체크 디지트 사용 여부 결정.
1) 분류항목 열거(항목선정)
2) 대 분류, 중 분류, 소 분류로 계통도 작성(코드 목적 결정 : 식별, 배열, 분류집계)
3) 개개의 명칭을 일람표로 기입(사용범위 결정)
4) 코드화 항목의 데이터 건수, 증가를 예견, 일람표에 코드 표기(확장성)
5) 코드 자릿수 결정.
6) 코드 관련업무와 사용범위(사내, 국가표준 등) 결정.
7) 사용 기간 결정.
8) 체크 디지트 사용 여부 결정.
4 코드의 종류
1) 순차 코드 (Sequential code)
2) 구분 코드 (Block code)
3) 십진 분류 코드 (Decimal code)
4) 그룹 코드 (Group classification code)
5) 연상기호 코드 (Mnemonic code)
6) 약자 코드 (Letter type code)
7) 표의 숫자 코드 (Significant digit code)
8) 특정 행 분류 코드 (Final digit code)
9) 암호 코드 (Cryptic code)
10) 바 코드 (Bar code)
5 코드의 오류 발견법
오류의 종류
코드 입력시의 오류 방지
체크-디지트 산출방법
오류의 종류
코드 입력시의 오류 방지
체크-디지트 산출방법
5.1 오류의 종류(coding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종류)
1) 사본(Transcription : 옮겨 적을 때)오류
2) 전위(Transposition : 위치가 뒤바뀐) 오류 : 좌
3) 이중 전위(Double Transposition : 중복된 위치 뒤바뀜) 오류 :
4) 랜덤(Random) 오류 : 1,2,3 한중 2종 이상이 발생하여 생긴 오류
5.2 코드 입력시의 오류 방지
1) 교육 훈련
2) 코드책자 발행
3) 고무인 사용
4) 사전 인쇄
5) 컴퓨터에 의한 코드부여
1) 교육 훈련
2) 코드책자 발행
3) 고무인 사용
4) 사전 인쇄
5) 컴퓨터에 의한 코드부여
5.3 체크-디지트 산출법
1) 가중치 : 코드번호의 각각의 코드자리에 일정한 수를 곱한다.
예) 코드번호 2 7 7 5 6 1
× × × × × ×
가중치 7 6 5 4 3 2
----------------------------------
예) 코드번호 2 7 7 5 6 1
× × × × × ×
가중치 7 6 5 4 3 2
----------------------------------
14+42+35+20+18+2 = 131 ------> sum
위에서 7, 6, 5, 4, 3, 2를 가중치라 한다.
2) 조정치 : 각 자리에 가중치를 곱한 결과를 합산하고, 합계를 어떤 수치로 나눈다.
이때 이 수치를 조정 치라고 한다.
예) 131 / 10 = 13 나머지 1
131 / 11 = 11 나머지 10
이 경우 10, 11을 조정 치라고 한다.
3) 체크-디지트 : 조정 치로 부터 “나머지”를 뺀 수치를 말한다.
예) 10 - 1 = 9, 11 - 10 = 1
이 경우 9, 1을 체크-디지트라 한다.
일반적으로 조정 치와 체크-디지트 사이에는 아래와 같은 관계가 있다.
(체크-디지트 + sum ) / 조정치 ==> 나머지 없음
즉, ( 9 + 131 ) / 10 ==> 나머지 없음
( 1 + 131 ) / 11 ==> 나머지 없음.
위에서 7, 6, 5, 4, 3, 2를 가중치라 한다.
2) 조정치 : 각 자리에 가중치를 곱한 결과를 합산하고, 합계를 어떤 수치로 나눈다.
이때 이 수치를 조정 치라고 한다.
예) 131 / 10 = 13 나머지 1
131 / 11 = 11 나머지 10
이 경우 10, 11을 조정 치라고 한다.
3) 체크-디지트 : 조정 치로 부터 “나머지”를 뺀 수치를 말한다.
예) 10 - 1 = 9, 11 - 10 = 1
이 경우 9, 1을 체크-디지트라 한다.
일반적으로 조정 치와 체크-디지트 사이에는 아래와 같은 관계가 있다.
(체크-디지트 + sum ) / 조정치 ==> 나머지 없음
즉, ( 9 + 131 ) / 10 ==> 나머지 없음
( 1 + 131 ) / 11 ==> 나머지 없음.
6 프로그램에 의한 코드의 검사
1) 공란 검사(blank check)
2) 체크-디지트 검사(check-digit check)
3) 형식 검사(mode check)
4) 범위 검사(range check)
5) 일련번호 검사(sequential check)
6) 대조 검사(match ch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