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설치

Linux 2011. 5. 3. 14:52

두 번째 MySQL입니다.

소스로 설치하니 난감한 점이 많군요..

설치할 때 많이 헤맸습니다..;

 

우선 http://mysql.com에서 설치파일을 받습니다.

 

사용할 버전은 5.5.11인데, 이전 버전에서는 configure를 사용했으나,

5.5부터 cmake를 이용해서 설치해야 됩니다.

 

cmake는 yum을 이용하여 설치해도 되나, 전 이상하게 잘 안되더군요;;

그래서 wget을 이용하여 설치하겠습니다.

 

wget이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설치해줍니다.

 

# yum install wget

 

cmake를 설치하기전에 gcc가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yum install gcc gcc-c++

 

이제 cmake를 설치해봅시다.

 

# wget http://www.cmake.org/files/v2.8/cmake-2.8.4.tar.gz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면서 cmake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 압축을 풀고 설치까지 후다닥 해봅시다.

 

# tar -zxvf cmake-2.8.4.tar.gz

# cd cmake-2.8.4

# ./bootstrap

# make; make install

 

 

이러면 cmake는 후다닥 설치가 끝나게 됩니다.

 

자 그럼... 이제 mysql을 깔아 봅시다.

우선 mysql 사용자를 추가해줍니다.

 

# groupadd mysql

# useradd -g mysql mysql

 

압출을 풀고 cmake를 해줍니다.

 

# tar -zxvf mysql-5.5.11.tar.gz

# cd mysql-5.5.11

# cmake . -LH (-LH 옵션으로 설치 경로 등의 옵션을 볼 수 있습니다.)

 

혹여나 이런 메시지가 뜰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ncurses-devel (Redhat 계열)이 설치가 안되어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 yum install ncurses-devel

 

 

위 패키지를 설치한 후, mysql 압축이 풀려있는 디렉토리에 들어가서 CMakeCache.txt를 지우고 설치를 계속 합니다.

사실 cmake에도 옵션이 많습니다만, 아직 잘 모릅니다..; 저는 기본설치를 하겠습니다.

 

 

※ 간단한 cmake 옵션

  * cmake . : 기본 옵션으로 컴파일을 합니다.
  * -LH : 설치 경로 위치를 보여줍니다.
  * -DCMAKE_INSTALL_PREFIX=경로 : mysql이 설치되는 경로입니다. (기본 /bin/local/mysql)
  * -DDEFAULT_CHARSET=utf8 or euckr(기본 charset은 latin1입니다.)
  * -DWITH_EXTRA_CHARSETS=all (기본 세팅입니다.)
  * -DMYSQL_TCP_PORT=3306 (기본 세팅입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를 마무리해봅시다.

 

# make; make install

 

 

설치는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소유권을 바꾸고 환경설정파일 세팅을 해보겠습니다.

 

# cd 설치한 경로

# chown -R mysql .

# chgrp -R mysql .

# scripts/mysql_install_db --user=mysql

 위 명령에 에러가 나시면 바로 뒤에 다음 명령어를 붙이시면 됩니다.

  --basedir=/usr/local/mysql --datadir=/usr/local/mysql/data

 

 

# chown -R root .

# chown -R mysql data

# cp support-files/my-medium.cnf /etc/my.cnf

 

서버를 구동합니다.

 

# bin/mysql_safe --user=mysql &

 안되면 user를 root로 바꿔보세요.

 

 

chown은 파일의 소유주를 바꿔주는 명령어입니다. -R은 하위파일 모두를 바꾸는 옵션입니다.

chgrp은 다 같은데 그룹을 바꿔주는 명령어입니다.

이제 mysql에 접속해봅시다.

 

# /usr/local/mysql/bin/mysql

 

실행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자 이제 패스워드를 설정해봅시다.


 

# ./mysqladmin -u root -h localhost.localdomain password '패스워드'

# ./mysql -p

 

후에 패스워드 입력하면 들어가집니다.

캡쳐에 두가지 방법으로 되어있는데, 어떤 방법으로 해도 설정됩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치 Directory 설정  (0) 2011.05.03
mysql 패스워드 초기화 방법  (0) 2011.05.03
vi의 텍스트 찾기, 바꾸기 명령  (0) 2011.04.27
[Linux] 시스템과 관리자용 명령어  (0) 2011.04.26
[Linux] 기본명령어  (0) 2011.04.26
Posted by 으랏차
,

(출처: www.kldp.org)

 

1. 문서 처음부터 마지막까지의 char 를 _char_ 로 치환한다.

:%s/char/_&_/g

 

2. 현재(커서 위치)부터 마지막까지의 char를 _char_ 로 치환한다.

:.,$s/char/_&_/g

 

3. buf_.*[255], buf_in[255], buf_get[255] 와 같은 문자열을 hello 로 변경한다.

:1,10s/buf_.*\[255\]/hello/g

 

4. 숫자로만 이루어진 행 찾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d\+$

 

5. 특수 문자의 의미

^ : 행의 첫 부분

\d : 0~9까지의 숫자

+ : 바로 앞의 글자 (여기서는 숫자)가 1개나 1개 이상 있음 (즉 숫자가 최소한 1개 있음)

$ : 행의 마지막 부분

 

6. 현재 줄에서 add 를 plus로 치환

:s/add/plus/g

 

7. 현재 문서에서 add 를 plus로 치환

:%s/add/plus/g

:g/add/s//plus/g

 

8. 현재 줄에서 /etc/ 를 /etc/local/ 로 치환

:s$/etc/$/etc/local/$g

$ 말고도 여러 가지 문자를 쓸 수 있습니다.

:나 & 등등

 

9. '앗싸좋구나108계단' 이 '좋구나108계단앗싸' 로 바뀝니다.

:%s/\(앗싸\)\(좋구나\)\(108계단\)/\2\3\1/g

 

10. 대소문자 구분 없이 바꾸려면 i 옵션을 붙입니다. 이것은 ".vimrc" 파일을 고치지 않아도 작동합니다.

:%s/foo/bar/i

 

11. 정확하게 foo에 일치될 때만 바꿉니다. 즉 foo는 바꾸지만, foo 앞뒤로 다른 문자열이 붙어 있는 경우에는 바꾸지 않습니다.

:%s/\/bar

 

12. 정렬

123 def ghi

432 ius dkf

089 cdo lks

 

이걸 숫자를 가운데로, 두 번째는 끝, 세 번째를 처음으로 보내려면

:%s/\([0-9]*\) \([a-z]*\) \([a-z]*\)/\3 \2 \1/g

 

13. 만약 3~5자리로 이루어진 모든 숫자를 검색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0123456789]\{3,5\} 또는 /[0-9]\{3,5\}

 

14. 만약 `ab'로 시작하는 소문자로 되어 있는 모든 단어를 삭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s/ab[a-z]*//g

 

15. 만약 test라는 파일에 cpu가 들어있는 라인을 모조리 지우고자 한다면 vi mode에서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g/cpu/d

# g는 모든 라인에 적용한다라는 의미이고,

# d는 delete를 의미합니다.

 

16. stat0,stat1.....stat9 패턴이 있는 라인을 모조리 지우기

:g/stat[0-9]/d

 

17. 빈 줄 두 줄을 한 줄로 바꾸기

:%s/\n\n/\n/g

 

18. 두 칸을 한 칸으로 줄이기

:%s/ / /g

 

19. 탭을 스페이스 공백으로 바꾸기

:%s/\t/ /g

 

20. 마지막에 한 칸 띠우고 엔터된 것을 바로 엔터한 것으로 고치기

:%s/ $//g 또는 :%s/ \n/\n/g

 

21. 줄 첫 칸의 띄어 쓰기를 없애기

:%s/^ //g

 

22. 잘못 바꾸기를 했을 때 되돌리려면 그냥 u 키를 누르면 됩니다.

그리고 u를 눌러 취소했는데(undo), 다시 하고 싶다면 (redo) Ctrl+R을 누르면 됩니다.

 

23. 찾기 후 블록 해제하는 방법

:noh

검색할 때 블록이 안 생기도록 하려면

:set nohlsearch

 

24. 줄 뒤 공백 문자 모두 지우기

:%s/[ \n]*//g

 

25. 빈 줄 모두 삭제하기

:g/^$/d

 

26. 소문자 a가 포함되지 않은 줄만 모두 삭제

:%g!/a/d

g : 다음이 패턴이 나타나는 줄에 대해 명령을 실행

g! : 다음의 패턴이 나타나지 않는 줄에 대해 명령을 실행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패스워드 초기화 방법  (0) 2011.05.03
MYSQL 설치  (0) 2011.05.03
[Linux] 시스템과 관리자용 명령어  (0) 2011.04.26
[Linux] 기본명령어  (0) 2011.04.26
[Linux] 내부 명령어  (1) 2011.04.26
Posted by 으랏차
,

du : 지정된 특정 디렉토리나 파일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보고한다.

   디렉토리나 파일을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디렉토리로 간주, 크기는 1k바이트 크기로 보고한다.

 

옵션

-s : 총 합계만을 따진다. 하위 디렉토리의 숫자 등은 나오지 않는다.

-a : 크기가 계산된 각 파일의 크기를 보인다.

-b : 바이트 크기로 출력한다.

-x : 현재 디렉토리에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만 검사된다.

-L : 심볼릭 링크 자신의 공간 대신 연결된 파일의 크기를 다룬다.

 

 

 

df :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검사하여 보고한다.

 

옵션

-a : 0 블록을 가진 파일도 보고한다. 기본적으로는 무시한다.

-i : 블록 사용 대신 incode 사용정보를 보고한다.

-v : System V의 df와의 호환을 위한 옵션이다. 무시된다.

-t : 특정 형태의 파일 시스템으로 검사를 제한한다.

-x : 특정 형태의 파일 시스템 이외의 것으로 검사를 제한한다.

 

 

 

ps : 프로세스 통계(Process Statics)를 나타낸다.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들을 사용자와 PID(프로세스 아이디)에 의해서 보여준다.

 

옵션

-l : 긴 형식으로 출력한다.

-u : 실행 유저와 실행 시간을 표시한다.

-j : 작업 제어(job control) 형식으로 출력한다.

-s : 시그널 형식으로 출력한다.

-m : 메모리 정보를 보여준다.

-a : 다른 사용자의 프로세스 현황을 보여준다.

-x : 터미널 제어 없이 프로세스 현황을 표시한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설치  (0) 2011.05.03
vi의 텍스트 찾기, 바꾸기 명령  (0) 2011.04.27
[Linux] 기본명령어  (0) 2011.04.26
[Linux] 내부 명령어  (1) 2011.04.26
[Linux] 텍스트 처리 명령어  (0) 2011.04.26
Posted by 으랏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