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기본명령어

Linux 2011. 4. 26. 10:30

리눅스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한다.

기본명령어 사용시 대/소문자에 유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ls : 파일 시스템 상의 파일의 목록을 보여준다.

 

옵션

-a : 도트로 시작되는 이름을 가진 파일명도 전부 보여준다

-l :  각 파일들에 대한 소유자, 권한, 갱신일 등의 자세한 정보

-i : 파일의 inode 번호를 보여준다.

-r : 정렬된 순서의 역으로 출력한다.

-u : 엑세스(access)한 날짜 순서대로 정렬한다.

-C : 가로 순서로 나열하여 출력한다.

-R : 현 디렉토리의 내용은 물론이고 서브 디렉토리의 내용까지 전부 보여준다.

 

 

cp : 파일을 현재위차, 또는 다른위치로 복사한다. 파일존재시 기존파일이 새 복사본 파일로 바뀐다.

 

옵션

-a : 가능한한 원 파일의 구조와 속성을 그대로 복사

-R : 디렉토리를 재귀적(recursive)으로 복사

-b : 복사할 때 덮어쓰게되는 파일은 백업을 만든다.

-P : 원본 파일의 소유자, 그룹, 권한, 시간 기록을 그대로 복사한다.

-d : 심볼릭 링크는 심볼릭 링크로 복사한다. 그리고 원본 파일과의 하드링크 관계를 유지한다.

-f : 복사위치에 존재하는 파일을 제거하고 복사한다.

 

 

mv : 파일 이동(move)이나 이름 변경 명령어. cp와 rm을 합친것과 동일

 

옵션

-b : 대상 파일이 지워지기 전에 백업 파일을 만든다.

-f : 대상 파일의 접근허가와 관계없이 무조건 파일을 이동한다.

-i : 대상 파일이 기존 파일이면, 덮어 쓸 것인지 물어본다.

-u : 대상 파일보다 원본 파일이 최근의 것일 때 업그레이드 한다.

-v : 파일 옮기는 과정을 자세히 보여준다.

 

 

rm : 파일을 삭제. -f 옵션 사용시 디렉토리까지 삭제

 

옵션

-f : 지울 파일이 있을 경우 강제로 삭제

-i : 지울 파일이 있을 경우 지울 것인지 물어봄

-r : 하위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삭제

-v : 지우는 파일 정보를 출력

 

 

mkdir :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옵션

-m :새로운 디렉토리의 허가모드를 지정한 모드로 설정한다.

-p : 부모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동 생성한다.

 

 

chmod : 파일의 모드를 바꾼다. 파일의 모드는 권한(permission)을 제어한다.(8진수로표현)

 

옵션

-c : 실제로 파일의 권한이 바뀐 파일만 자세히 기술한다.

-f : 파일의 권한이 바뀔 수 없어도 에러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는다.

-v : 변경된 권한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한다.

-R : 디렉토리와 파일들의 권한을 재귀적으로 모두 바꾼다.

 

 

ln : 두 개의 파일 사이에 링크를 만들어, 하나의 파일을 두 개 이상의 이름으로 접근 가능하게 함

  파일 복사대신 링크 사용시 디스크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음

 

옵션

-s : 하드 링크 대신 심볼릭 링크를 만든다.

 

 

find : 원하는 특정 파일을 디렉토리 탐색으로 찾는다. 파일 조건은 이름, 크기, 날짜 등 지정 가능

   매우 강력한 도구로 특정 디렉토리들을 순회하면서 지정된 조건에 만족하는 파일을 찾는다.

 

옵션

-name 파일명 : 찾고자 하는 파일의 이름을 지정. 와일드 카드도 가능하다.

-perm 모드 : 파일 permission이 일치되는 것을 찾는다. 원하는 권한은 ls로 볼 수 있는 형태와 같음

-type ? : 형태가 같은 파일을 찾는다.

    ? 부분 : 디렉토리 d, 파이프 p, 심볼릭 링크 l, 블록파일 b, 일반파일 f

-links ? : 특정 개수의 링크를 가진 파일을 찾는다. ? 부분에 링크의 숫자를 표기

-size ? : 파일의 크기가 일치하는 것을 탐색한다. 파일 크기는 블록단위로 ? 부분에 지정.

     한 블록은 512바이트, 블록숫자 뒤에 k를 붙이면 키로바이트 단위 블록숫자로 간주

-user 사용자 : 파일 사용자의 ID에 따라서 검색. 로그인 이름이나 번호 모두 가능

-atime ? : 최근 며칠내에 엑세스한 파일을 검색한다. 날짜수는 ?에 명시

-exec 명령 : 원하는 검색 조건에 맞는 파일을 찾으면 명시된 명령을 실행.

       명령의 끝은 \;을 사용하여 끝낸다.

       find가 검색해낸 파일 이름 인수로 사용하고 싶을때는 그 위치에 {} 사용

-newer 파일 : 어떤파일보다 최근에 갱신된 모든 파일을 검색한다.

Posted by 으랏차
,

[Linux] 내부 명령어

Linux 2011. 4. 26. 10:30

pwd :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출력(print working directory)한다.

 

 

 

cd : 디렉토리를 변경 할수 있는 명령, 자신이 있는 위치에서 절대경로나 상대경로 이용.

   디렉토리 이름을 주지 않고 수행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

 

절대경로 : /root, /usr, /home/user 등과 같이 전체 경로명을 적어 주는 것

상대경로 : 현 위치에서 ./ 이나 ../를 이용하여 이동.

     ex) ../temp는 상위 디렉토리의 temp라는 디렉토리를 가리킨다.

 

 

 

jobs : 백그라운드로 돌고 있는 작업들을 작업 번호와 함께 보여준다.

 

옵션

-l : 프로세서 번호를 추가해서 보여준다.

 

작업(job)과 프로세스에 대해 혼동하기 쉬운데, kill, disown, wait같은 내장명령은

작업 번호나 프로세스 번호, 둘 다 인자로 받아 들인다.

하지만 fg, bg, jobs는 오직 작업 번호만을 인자로 받아들인다.

 

작업번호 : 작업번호는 한 사용자의 작업에 대한 것으로, 1번부터 순서대로 부여되지만 다른 터미널의

     다른 사용자도 같은 번호의 job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이 작업 번호는 중지되었거나,

     백그라운드에 있는 것들만이 작업번호가 주어진다는 점이다.

프로세서 번호는 시스템 중심적이고, 작업 번호는 사용자 중심적인 번호이다.

 

 

 

kill : 현재 수행중인 프로세서에게 시그널을 보낸다.

 

보통 프로세서를 종료시킬때 사용한다. 시그널 종류를 지정하지 않으면 ID 15번이 디폴트로 지정된다.

 

옵션

-signalID : -시그널아이디, 프로세서에게 보낼 시그널을 지정한다.

-l : 시그널 종류를 시그널번호 순서대로 이름으로 나열한다.

 

디폴트 signal ID는 ID 15번으로 프로세서를 종료시킨다.

예를 들어 시스템 사용을 마치고 로그아웃 할때는 ID 1번( HUP(hang up) ) 시그널이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쉘 상태에서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서를 종료시키고 로그아웃한다.


Posted by 으랏차
,

tail :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표준 출력으로 보여준다(기본적으로 10줄)

     보통은, 시스템 로그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할 때 사용한다.

 

옵션

-n : 출력할 라인의 갯수이며 기본은 10개의 라인이다.

-l : 출력크기를 라인단위로 지정한다.

-b : 출력크기를 블록단위로 지정한다.

-c : 출력크기를 문자단위로 지정한다.

-f : 파일 뒤에 추가되는 라인을 계속적으로 보여준다.

 

 

grep : 정규 표현식을 쓰는 다목적 파일 검색 도구

   예전 라인 에디터인 ed의 명령어나 필터였던 e/re/p에서 따온것

   ( global - regular expression - print )

   대상 파일에서 보통 텍스트이거나 정규 표현식인 pattern을 찾아주고

   대상파일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파이프에서 쓰여 다른 명령어의 표준출력에 대한 필터로 동작

 

옵션

-i : 대소문자 구분없이 찾도록 해준다.

-l : 일치하는 줄이 아니라 일치하는 줄이 들어있는 파일만 보여준다.

-n : 일치하는 줄과 그 줄번호를 같이 보여준다.


Posted by 으랏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