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r : 유닉스의 표준 아카이브(archive) 유틸리티.

  원래는 Tape ARchiving 프로그램에서 왔는데, 이 프로그램은 테입 드라이브 부터 보통 파일,

  심지어 표준출력까지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에 대해 모든 종류 아카이브를 다룰수 있다.

 

옵션

-c : 새 아카이브 파일을 만든다.

--delete : 아카이브에 들어있는 파일 지우기

-r : 파일을 아카이브로 추가한다.

-t : 아카이브 내용 목록을 보여준다.

-u : 아카이브 업데이트를 한다.

-x : 아카이브에 들어있는 파일을 뽑아낸다.

-z : 아카이브를 gzip으로 압축한다.

 

 

gzip : 표준 GNU/UNIX 압축 유틸리티, 서능이 떨어지고 특허가 걸려있는 compress를 대신한다.

   압축풀기 명령어는 gunzip으로, gzip -d와 같다.

 

옵션

-d : 압축된 파일을 복구한다.

-f :파일이 링크되어 있거나, 이미 존재 되어있을 경우 강제로 압축한다.

-h : 명령어 도움말을 보여준다.

-l : 압축된 파일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r : 디렉토리 내의 파일들도 모두 처리(압축)한다.

 

gzip으로 압축하면 .gz 확장자를 갖는 압축파일을 생성한다.

파일의 소유권, 권한, 수정시간등 속성들은 그대로 보존된다

 

zcat 필터는 gzip으로 묶인 파일의 압축을 풀어 표준출력으로 내보냄, 파이프 입력이나 재지향에 쓰임

실제로는 압축 파일에 대해 동작하는 cat이라고 보면 된다.

zcat은 gzip -dc와 같다.

 

 

file : 파일이 어떤 형태의 파일인지 알아낸다.

   파일이 텍스트 문서인지 실행할 수 있는 파일인지 데이터 파일인지 등을 인식한다.

   에디터를 사용해서 보거나 수정 될 수 있는 파일인가 알아보는데 많이 사용한다.

 

옵션

-c : 매직 파일의 파싱된 형태를 보여준다.

-z : 압축되어 있는 파일의 형태를 검사한다.

-L : 뒤따르는 심볼릭 링크를 야기(?) 시킨다.

-f : "파일명" 검사한 파일에 대해 리포트를 만들 파일의 이름을 지정한다.

-m : "파일명" 파일의 형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매직파일을 정한다.

Posted by 으랏차
,

.bash_profile
프로그램 소스를 특정 디렉터리에 설치한다거나 디렉터리를 생성했다면,
쉘이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도록, 검색 경로에 디렉터리를 등록해야 한다.
이런 검색 경로를 .bash_profile 에 지정한다.
PATH의 경로는 : 로 나눈다.

users
계정 조회.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을 조회하는 것

/etc/default/useradd 파일
사용자 계정 생성 기본 설정 파일

/etc/login.defs 파일(쉐도우 패스워드 사용시) : shadow 유틸리티의 로그인 설정 파일










useradd -d
기본 설정사항 확인해보기

useradd 생성할계정명
root가 아닌 새로운 사용자에게 시스템에 대한 사용권을 부여하는 것을 계정이라고 한다.
암호지정을 위해서는 passwd 명령어를 사용한다.

passwd 생성한계정명
위의 useradd 명령어를 이용해 계정을 생성했다면, passwd 명령어를 이용해 해당 계정에 대해 암호를 지정할 수 있다.


useradd -c comment 
사용자 이름 또는 정보

useradd -d home_dir
사용자 계정 홈 디렉터리

useradd -e expire_date
사용자 계정 유효기간

useradd -G group[,...] 
다중그룹

useradd -s shell
로그인 기본쉘

useradd -u uid
Posted by 으랏차
,


 리눅스 시스템의 디렉토리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를 파일처럼 인식한다.(파일 또한 파일로 인식한다)
디렉토리는 트리구조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최상위 루트(root) 파일시스템을 중심으로,
하위 디렉토리 /usr, /home, /var, /boot, /bin, /sbin, /lib 등이 있다.

 경로 (Depth 0)  Depth 1  Depth 2  설명
 /      최상위 디렉토리(root)
   /bin    기본 실행 파일들,
 사용자 명령어들이 존재 
   /boot    시스템 부팅시에 
 필요한 파일들이 존재
   /dev    각종 장치 파일들 존재
 (HDD, CD-ROM 등) 
   /etc    시스템 관리시 필요한
 스크립트 파일들,
 설정파일들이 존재 
   /home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 
   /lib    각종 라이브러리들이 존재
 커널 모듈도 이곳에 있음 
   /lost+found    ext2 및 ext3 파일 시스템의
 파일 시스템 복구를 위한
 디렉토리 
   /mnt    마운트 될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포인터가 되는
 디렉토리
 /mnt/cdrom
 /mnt/floppy 등 
   /opt    추가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 패키지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proc    메모리상에 존재하는
 가상 디렉토리
 현재 시스템 설정들이
 파일로 존재 
   /root    루트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sbin    시스템 관리에 관련된
 실행 파일들이 존재
 (시스템 점검 & 복구 명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시스템 초기 및 종료 명령, 
 커널 모듈등)
   /tmp    장치에 필요한 socket 등
 시스템에 필요한
 임시파일을 만들고
 삭제하는 디렉토리 
   /usr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데 필요한
 모든 명령들과, 라이브러리,
 메뉴얼 페이지들이 존재 
     /usr/bin  /bin에 없는
 유용한 실행파일들이 위치 
     /usr/include  C언어 header 파일을 보관
     /usr/src  컴파일 되지 않은 소스코드  등을 포함
 /usr/src/linux로
 리눅스 커널의 소스코드도
 포함 
     /usr/man  명령어로 볼 수 있는
 man page(메뉴얼 페이지)
 포함 
   /var    시스템 작동 log 들,
 네트워크 관련 기록파일들,
 보안 기록을 저장,
 메일등을 저장하는
 가변 저장 공간 

전부를 다 알아두면 좋지만, 굵게 표시된 부분들은 우선적으로 눈여겨 볼 디렉토리들이다.
Posted by 으랏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