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공급 사슬 관리의 개요
1 공급 사슬 관리의 개념
- 공급 사슬 (Supply chain) 이란 “공급 업체로부터 재화나 용역이 생산 과정을 거쳐 소비자에 이르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유통에 관련된 정보 및 프로세스의 집합체 (Schroeder, 2000)
- 공급 사슬은 재화나 용역이 원재료의 공급 업체, 제조 업체, 유통 업체, 소매 업체 마지막으로 최종 소비자에 이르는 과정에서 원재료, 관련 정보, 지불, 서비스 등의 일련의 흐름을 의미하는데, 즉, 제품이 제조되고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으로 여러 기업이나 조직이 관여 함으로 하나의 확장된 기업 (extended enterprise) 개념으로 볼 수 있다.
- 공급 사슬의 주체
    . 고객                         . 제조 업체
    . 소매업체                   . 부품, 원자재 공급업체
    . 도매업체 / 배송업체
- 공급 사슬 관리 (Supply chain Management) 란
공 급 사슬상에 존재하는 불필요 하고 비효율적인 요소들을 제거하여 공급 사슬에 참여하는 조직의 공통 비용을 절감하고, 이익을 증대시켜 궁극적으로 소비자 가치를 극대화 하려는 기업간 win-win 전략으로 제품의 원재료 조달에서부터 소비자에 이르기 까지의 공급 사슬에 참여하는 모든 업체들을 전략적인 제휴를 바탕으로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통합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경영 방식이다.
- SCM 이란
고객과 참여하는 관계자들에게 부가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 최초 공급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이르는 과정에서 제품, 서비스, 정보의 흐름과 같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들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전략이다 (Global Supply Chain Forum, 1988)
- SCM 이란
고객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만족시켜 주면서 비용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 적정 수량의 제품을 적정한 장소까지 적정한 시간에 생산 및 유통될 수 있도록 공급자, 생산자, 물류업자, 유통업자 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경영 방식이다. (Simchi-Levi, 2000 : 대영, 고 266)

2. 공급망 관리의 출현
- 1980년대에 미국에서 시작된 개념
- SCM 에 관련한 기법들
. ECR (Efficient Consumer Response),
. QR (Quick Response)
. CAO (Computer-Assisted Ordering)
. CRP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
. CFAR (Collaborative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 주요 업체
 . i2 Technologies
 . J. D. Edwards
 . SAP.
- 초기 SCM은 주로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발전.
- 향후 금융, 보험, 의료, 연예 등 서비스 업체로 확산 전망
- 국내에서는 90년대 중반에 미국계 Consulting 업체와 SI 업체들에 의해서 개념이 소개됨.
3. 공급망 관리의 중요성과 목적
1) SCM 의 중요성
 (1) 공급 사슬의 연계에 대한 중요성
   - 다양한 형태의 경쟁 상황에 직면 (Global 화)
   - 기업 자체적인 경영 효율화에 한계 봉착
      . 자전거 생산 업체가 내부적으로 경영의 효율화를 이루었다 하더라도 도매상이나 소매상까지
        운송하는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았다면 결과적으로 제품 자체의 경쟁력을 잃을 수도 있
        다.  따라서 자전거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운송 시스템도 잘 갖추어 판매 효율화를 이룩
        하도록 한다.
   - 최근 기업 경영은
      . 자기 기업이 경쟁력이 별로 좋지 않아도 다른 기업들과 Outsourcing, 전략적 제휴, 파트너 쉽 등
        을 통해 연계 관계를 강화시키거나,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전체적인 제품 공급 라인을 효율화 시
        킬 수 있다면 이것도 경쟁력을 강화 시킬 수 있는 방법 이라는 것을 인식함.
   - 공급 라인의 변화
      . 과거 : 제조업체 -> 도매상 -> 소매상 -> 소비자
      . 현재 : 소비자 -> 소매상 -> 도매상 -> 제조업체
 
   제조업체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 => SCM 의 핵심 요소
   - 기업의 경영 효율화 = 생산 효율과 판매 효율화로 달성할 수 있음.
      . 생산의 효율화 : 좋은 제품의 생산, 품질, 원재료와 도구의 적시 적절한 구매 등 기업 전방 분야
        의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 판매 효율화 : 물류, 배송 등 기업 후방 분야의 효율화로 이룰 수 있다.
    - 따라서 1980년대 90년대 들어서 기업의 위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의 연계가 기업전략의 핵심으
      로 부각
    - SCM이 최근에 관심을 집중시키는 이유
      . SCM은 1800년대 이후 산업 사회로 진입하면서 항시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
      . 80년대, 90년대에 활용되기 시작한 공급망 관리 기법들 (이 당시 혁신적인 경영 전략가들에 의
        해서 경영전략의 TOOL로 인식되기 시작함)
   . ECR (Efficient Consumer Response),
   . QR (Quick Response)
   . CAO (Computer-Assisted Ordering)
   . CRP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
   . CFAR (Collaborative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 기업의 Computing 환경이 또한 Mainframe에서 PC 환경으로 변화되고, 졍영 전략과 정보 기술의
     접목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관심을 갖게됨
 
 (2) SCM과 유통 관리의 차이점
   . 유통관리의 대상 : 제조업체, 도매상, 소매상
   . 90년대 초에 SCM이 기업의 경쟁 전략으로 부각하자 많은 유통관리 분야의 학자나 전문가들이 유
     통관리가 SCM의 함 부분으로 흡수될까 봐 우려함
   . SCM이 유통관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50%정도는 서로 다른 점도 있음
   . 차이점
      SCM : 제조업체의 생산 효율성과 유통업체의 판매 효율성에 목적을 둠
      유통관리 : 제조업체의 생산 효율성 보다는 유통 업체의 판매 효율성에 중점을 둠
2) SCM 의 목적
 (1)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제품의 공급 과정에 일치(Synchronization)시키려고 함
   - Synchronization
      . 소비자의 요구에 소매점이 자신의 활동을 일치
      . 소매점의 요구에 도매상이 자신의 활동을 일치
      . 도매상의 요구를 제조업체가 그들의 활동을 일치
      . 제조업체의 요구를 원재료 공급 업체가 그들의 활동을 일치
      . 궁극적으로 공급 라인 전체가 일치하게 된다.
    - 공급 사슬간의 연결 고리가 제대로 연결되지 못하면
      . 비용이 더 들거나
      . 손해가 발생
   - 수도 배관의 예

 (2) 소비자 만족을 통한 매출 확대
   - SCM은 소비자를 기본으로 시작하여 소매점, 도매상, 제조업체, 원재료 공급업체로 연결됨
   - 따라서 공급망 상의 모든 구성 요소를 유기적인 통합하여 고객의 만족을 극대화하여  매출을 확대
     한다.
   - SCM이 소비자로부터 시작한다 하여 (Customer Chain Management)라고도 함
   - 또, SCM을
      . 소매상이 여러 도매상을, 제조업체가 여러 원재료 공급업체를 탐색하면서 거래를 한다 하여
        Supply Network, Supply Web이라고도 함
 (3) 공급망 상의 총 가치의 극대화
   - 총가치 : 공급사슬 관리상에 투입된 전제 비용과 이로 인해 창출된 전체 수익과의 차이를 의미함
   - 공급사슬 관리상에 투입된 전체 비용 : 소매상, 도매상, 제조업체, 원재료 공급업체들이 사용한 총
     비용
   - 공급사슬 관리상의 전체 수익 : 최종 산출물인 제품을 구입하기 위해 소비자가 지불한 가격의 총합
   - 공급 사슬 수익성(Suppply Chain Profitability)  총가격 – 총 비용.
   - 공급 사슬 수익성의 극대화는 공급망 상의 개별 업체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공급망 상
     의 모든 업체가 공급망 상의 총 가치를 극대화시키므로 가능하다.
     
 (4) 공급망의 최적화로 수익의 극대화
   - 참여하는 일부 업체만으로는 공급망의 최적화는 이룰 수 없다.
   - 공급망 상의 업체간의 비용 전가 등은 종국적으로 소비자 가격을 올리게 되어 수익의 극대화에 역
     행이 됨

'UP! > Software 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P의 활용과 필요성  (0) 2008.08.21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  (0) 2008.08.21
시스템구현  (0) 2008.08.21
[CMMI] CMMI Project Status  (0) 2008.08.21
객체지향 분석과 설계  (0) 2008.08.21
Posted by 으랏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