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파일을 만들어서 스왑 메모리로 활용하는 경우, swapon 명령을 해줘야 적용된다.
다음 부팅 시에도 자동으로 swapon이 되게 하려면 /etc/fstab에 등록하면 된다.
지금까지 /etc/fstab에는 파티션만 등록할 수 있는 줄 알았는데 파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빈 파일이 /swap/에 swapfile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etc/fstab에는

/swap/swapfile       swap       swap       defaults 0 0

과 같이 설정해주면 된다.

위 방법 외에도 부팅시 읽어드리는 스크립트 파일인 /etc/rc.local 파일에 명령을 입력해줘도 된다.

'RH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티션 재생성에 대해...  (0) 2009.06.02
LVM 파티션을 물리 볼륨으로 만들 때...  (0) 2009.06.02
DNS서버 구성 정리  (0) 2009.06.02
Raid를 구동하면?  (0) 2009.06.02
Raid spare 장비 설정하기  (0) 2009.06.02
Posted by 으랏차
,

DNS서버 구성 정리

RHCE 2009. 6. 2. 13:38
1. bind 프로그램 설치 확인.

2.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파일 설정.

3. /etc/named.rfc1912.zone 파일 설정.

4. forward zone 파일 생성 및 설정.

5. reverse zone 파일 생성 및 설정.

6. 생성한 forward zone, reverse zone 파일의 소유 그룹을 named로 변경.


root계정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소유자와 소유 그룹이 root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chgrp 명령을 이용해서 소유 그룹을 바꾼다.(소유자는 그냥 나둬도 된다.)

7. 테스트할 시스템의 DNS 서버 변경.

8. host파일 보다 DNS서버를 먼저 질의하게 변경.


일반적으로 /etc/host정보를 먼저 질의 하고 DNS서버를 질의한다.


자신의 시스템에서 테스트를 할 경우 DNS서버를 먼저 질의하게 변경해야한다.
Posted by 으랏차
,

Raid를 구동하면?

RHCE 2009. 6. 2. 13:38
mdadm -C로 raid를 생성하면 다음 부팅시에도 생성한 raid가 자동으로 시작된다.
그러므로 혹시 같은 이름의 raid장비를 재생성하려면 재부팅 후에도 `mdadm -S [raid장비명]`으로 raid를 중지시키고 생성해야 한다.

[출처] Raid를 구동하면?|작성자 이경모

Posted by 으랏차
,
mdadm으로 raid장비를 생성할 때 -x옵션을 주면 된다.

예를 들어 /dev/md1로 미러된 디바이스를 생성하고 spare로 한 장비를 생성하려면

`mdadm -C /dev/md1 -l 1 -n 2 -x 1 /dev/hdb9 /dev/hdb10 /dev/hdb11`

위와 같은 명령을 내려주면 된다. (물론 /dev/hdb9~11은 임의의 장비다.)
-x로 1개의 spare장비를 지정했으므로 마지막에 입력한 /dev/hdb11은 spare장비가 된다.

'RH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서버 구성 정리  (0) 2009.06.02
Raid를 구동하면?  (0) 2009.06.02
Raid 디바이스 추가/삭제/고장  (0) 2009.06.02
볼륨 그룹을 영역 지정해서 생성하기  (0) 2009.06.02
mkinitrd  (0) 2009.06.02
Posted by 으랏차
,
이미 구동 중인 raid장비에 -a 옵션을 이용하여 특정 디바이스를 추가할 수 있다.
xterm -e "watch cat /proc/mdstat" 명령을 이용해 raid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실행하자.
/dev/md1에 /dev/hdb12 디바이스를 추가하려면,

`mdadm /dev/md1 -a /dev/hdb12`

위와 같이 해주면 된다.
이렇게 추가하면 spare 디바이스로 추가 되어서 /dev/md1로 묶인 디바이스 중에 고장난 것이 있으면 spare 디바이스로 대체 된다.
그런데 위 추가는 raid0 같은 경우에는 불가능하다고 보면 될 것 같다.
raid0은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에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 장비가 고장이 나면 대체 불가능하다.
raid0번으로 생성된 raid 디바이스에 -a 옵션을 이용해서 추가해봤는데 역시나 되지 않았다.
추가는 raid생성시 -x옵션을 주지 않은 디바이스도 가능했다.
다만 제대로 돌아가는지는 해봐야 알겠지만...

그러면 이제는 구동 중인 raid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위에서 추가한 /dev/hdb12를 이번엔 삭제해보자.
삭제는 -r 옵션을 이용하면 된다.

`mdadm /dev/md1 -r /dev/hdb12`

이렇게 하면 /dev/hdb12는 삭제 되었다.

실습을 위해 강제로 고장낼 수 있는 옵션도 mdadm에 있다.
-f 옵션이다.

`mdadm /dev/md1 -f /dev/hdb12`

이런 식으로 해주면 된다.

'RH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를 구동하면?  (0) 2009.06.02
Raid spare 장비 설정하기  (0) 2009.06.02
볼륨 그룹을 영역 지정해서 생성하기  (0) 2009.06.02
mkinitrd  (0) 2009.06.02
rpm 관련 명령  (0) 2009.06.02
Posted by 으랏차
,
vgcreate로 볼륨 그룹을 생성할 때 영역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영역이란 데이터를 저장할 때의 단위를 의미하는 것 같다.
예를 들어 4M로 설정하면 4M단위로 저장되고, 32M로 저장하면 32M 단위로 저장되는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예를 들어 100M의 용량을 지닌 물리볼륨에서 영역을 32M로 생성하고 볼륨 그룹을 생성한다면,
3개의 공간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100을 32로 나누면..흠..4정도가 남겠다.)
그러면 남는 4M는 사용을 못 한다. 영역이 32M이므로...

내 생각에 영역의 크기가 크면 처리 속도가 빠르지 않을까 싶다.
반면에 위와 같이 공간을 낭비할 수 있고, 영역이 작으면 공간을 낭비할 확률이 적어지지만 속도가 느릴 것만 같은데...이건 내 생각이다...맞을려나~ㅋ

'RH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spare 장비 설정하기  (0) 2009.06.02
Raid 디바이스 추가/삭제/고장  (0) 2009.06.02
mkinitrd  (0) 2009.06.02
rpm 관련 명령  (0) 2009.06.02
/etc/mail/local-host-name의 이해  (0) 2009.06.02
Posted by 으랏차
,

mkinitrd

RHCE 2009. 6. 2. 13:36
모듈 이미지를 생성하는 명령이다.
mkinitrd --with=raid1 initrd-raid1-$(uname -r).img $(uname -r)
위 명령은 raid1.ko모듈을 강제로 포함하는 새로운 initrd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이다.

즉, 모듈 이미지를 생성할 때는
`mkinitrd --with=[포함할 모듈명] [모듈이미지명] [커널 버전]`
이렇게 해주면 된다.

그냥 디폴트 모듈이미지는 --with옵션을 빼고
`mkinitrd [생성할 모듈이미지명] [커널 버전]`
이렇게 해주면 된다.

[출처] mkinitrd|작성자 이경모

'RH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디바이스 추가/삭제/고장  (0) 2009.06.02
볼륨 그룹을 영역 지정해서 생성하기  (0) 2009.06.02
rpm 관련 명령  (0) 2009.06.02
/etc/mail/local-host-name의 이해  (0) 2009.06.02
udev  (0) 2009.06.02
Posted by 으랏차
,

rpm 관련 명령

RHCE 2009. 6. 2. 13:36
1. 특정 RPM 패키지에 포함되는 파일을 확인할 때...
`rpm -ql [패키지명]

2. 특정 RPM의 정보를 확인할 때...
`rpm -qi [패키지명]

3. 특정 RPM이 설치된 후 수정되었는지 확인할 때...
`rpm -V [패키지명]

4. 특정 파일이 속한 RPM 패키지를 확인할 때...
`rpm -qf [파일명]

5. RPM GPG키를 임포트할 때...
`rpm --import [GPG키]

6. RPM 파일의 서명을 확인할 때...
`rpm -K [패키지명]

[출처] rpm 관련 명령|작성자 이경모

'RH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륨 그룹을 영역 지정해서 생성하기  (0) 2009.06.02
mkinitrd  (0) 2009.06.02
/etc/mail/local-host-name의 이해  (0) 2009.06.02
udev  (0) 2009.06.02
장치 관리자  (0) 2009.06.02
Posted by 으랏차
,
사용자가 메일을 보내면 메일은 사용자가 속한 메일서버 즉, MTA에 전달된다.
MTA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지 도메인을 DNS서버에 질의에서 목적지 IP를 알아내서 목적지 MTA로 보내게 되는데 이 때 MTA에 /etc/mail/local-host-name에 목적지 도메인이 정의 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DNS에 MX로 정의가 되어 있으면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목적지 MTA에 정의가 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출발지 MTA의 /etc/mail/local-host-name에 목적지 도메인이 정의가 되어 있다면, DNS서버에 목적지 MTA의 ip가 정의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거기까지 메일이 전달되지 않고, 출발지 MTA에 보관된다.
예 를 들어, root@stationX.example.com이 root@test.example.com에 메일을 보내는데 test.example.com이 stationX.example.com의 /etc/mail/local-host-name에 있다면 DNS 서버에 test.example.com의 ip인 MTA에 전달되지 않고 root@stationX.example.com이 받는다는 것이다.

'RH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kinitrd  (0) 2009.06.02
rpm 관련 명령  (0) 2009.06.02
udev  (0) 2009.06.02
장치 관리자  (0) 2009.06.02
/proc 디렉토리에 대해서..  (0) 2009.06.02
Posted by 으랏차
,

udev

RHCE 2009. 6. 2. 13:31
udev는 시스템에 하드웨어가 추가로 장착 되면 /dev 디렉토리에 파일을 생성 또는 삭제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가 추가로 장착이 되면 커널은 이를 감지해서 새로운 디바이스 추가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udev는 이 이벤트를 받아 적당한 이름의 디바이스 파일을 /dev 디렉토리 밑에 만들어 준다.

/etc/udev/rules.d/ 디렉토리 안에 보면 디바이스 파일의 이름이나 권한을 부여하는 규칙이 있는 파일들이 있다. Red Hat Enterprise Linux 에서는 거의 모든 경우에서 작동할 수 있는 기본 규칙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물론 관리자가 /etc/udev/rules.d/ 디렉토리에 규칙을 추가할 수 있다.

[출처] udev|작성자 이경모

'RH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m 관련 명령  (0) 2009.06.02
/etc/mail/local-host-name의 이해  (0) 2009.06.02
장치 관리자  (0) 2009.06.02
/proc 디렉토리에 대해서..  (0) 2009.06.02
ping 요구에도 응답하지 않는 시스템 만들기  (0) 2009.06.02
Posted by 으랏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