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304건

  1. 2009.06.02 mkinitrd
  2. 2009.06.02 rpm 관련 명령
  3. 2009.06.02 /etc/mail/local-host-name의 이해
  4. 2009.05.29 정리
  5. 2009.05.29 ntsysv
  6. 2009.05.28 5.28 (log 롼련)
  7. 2009.05.28 homework
  8. 2009.05.27 well-known port
  9. 2009.05.27 test 1
  10. 2009.05.26 RHCE

mkinitrd

RHCE 2009. 6. 2. 11:31
모듈 이미지를 생성하는 명령이다.
mkinitrd --with=raid1 initrd-raid1-$(uname -r).img $(uname -r)
위 명령은 raid1.ko모듈을 강제로 포함하는 새로운 initrd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이다.

즉, 모듈 이미지를 생성할 때는
`mkinitrd --with=[포함할 모듈명] [모듈이미지명] [커널 버전]`
이렇게 해주면 된다.

그냥 디폴트 모듈이미지는 --with옵션을 빼고
`mkinitrd [생성할 모듈이미지명] [커널 버전]`
이렇게 해주면 된다.

[출처] mkinitrd|작성자 이경모

'RH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spare 장비 설정하기  (0) 2009.06.02
Raid 디바이스 추가/삭제/고장  (0) 2009.06.02
볼륨 그룹을 영역 지정해서 생성하기  (0) 2009.06.02
rpm 관련 명령  (0) 2009.06.02
/etc/mail/local-host-name의 이해  (0) 2009.06.02
Posted by 으랏차
,

rpm 관련 명령

RHCE 2009. 6. 2. 11:31
1. 특정 RPM 패키지에 포함되는 파일을 확인할 때...
`rpm -ql [패키지명]

2. 특정 RPM의 정보를 확인할 때...
`rpm -qi [패키지명]

3. 특정 RPM이 설치된 후 수정되었는지 확인할 때...
`rpm -V [패키지명]

4. 특정 파일이 속한 RPM 패키지를 확인할 때...
`rpm -qf [파일명]

5. RPM GPG키를 임포트할 때...
`rpm --import [GPG키]

6. RPM 파일의 서명을 확인할 때...
`rpm -K [패키지명]

[출처] rpm 관련 명령|작성자 이경모

'RH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spare 장비 설정하기  (0) 2009.06.02
Raid 디바이스 추가/삭제/고장  (0) 2009.06.02
볼륨 그룹을 영역 지정해서 생성하기  (0) 2009.06.02
mkinitrd  (0) 2009.06.02
/etc/mail/local-host-name의 이해  (0) 2009.06.02
Posted by 으랏차
,
사용자가 메일을 보내면 메일은 사용자가 속한 메일서버 즉, MTA에 전달된다.
MTA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지 도메인을 DNS서버에 질의에서 목적지 IP를 알아내서 목적지 MTA로 보내게 되는데 이 때 MTA에 /etc/mail/local-host-name에 목적지 도메인이 정의 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DNS에 MX로 정의가 되어 있으면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목적지 MTA에 정의가 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출발지 MTA의 /etc/mail/local-host-name에 목적지 도메인이 정의가 되어 있다면, DNS서버에 목적지 MTA의 ip가 정의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거기까지 메일이 전달되지 않고, 출발지 MTA에 보관된다.
예 를 들어, root@stationX.example.com이 root@test.example.com에 메일을 보내는데 test.example.com이 stationX.example.com의 /etc/mail/local-host-name에 있다면 DNS 서버에 test.example.com의 ip인 MTA에 전달되지 않고 root@stationX.example.com이 받는다는 것이다.

'RH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spare 장비 설정하기  (0) 2009.06.02
Raid 디바이스 추가/삭제/고장  (0) 2009.06.02
볼륨 그룹을 영역 지정해서 생성하기  (0) 2009.06.02
mkinitrd  (0) 2009.06.02
rpm 관련 명령  (0) 2009.06.02
Posted by 으랏차
,

정리

카테고리 없음 2009. 5. 29. 00:47

file
which
whereis

cal
date
rdate

uname
free
dmesg

df
du
 
finger
w

id

ntsysv
chkconfig --list
chkconfig --list httpd
chkconfig --level 3 httpd off
chkconfig --level 35 httpd on

1.partition  생성
fdisk /dev/sda
partprobe
mkfs.ext3 /dev/sda8
mount /dev/sda9 data1
umount
mount -a
e2label /dev/sda9 data1

2.swap 생성
mkswap -c /dev/sda9
swapon /dev/sda9
swapoff /dev/sda9

3.quota 생성
/etc/fstab usrquota추가
mount -o remount /data1
quotacheck /data1
edquota -u test1
repquota u /data1
edquota -p test2 test1

4.RAID 생성
fdisk -- raid partition  생성
partprobe
mdadm -C /dev/md0 -l 1 -n 2 /dev/sda10 /dev/sda11
mkfs.ext3 /dev/md0
mount /dev/md0 raid1
umount raid1
mdadm -S /dev/md0

5.LVM 생성
fdisk -- lvm partition  생성
partprobe
pvcreate /dev/sda12
pvscan
vgcreate lvm0 /dev/sda12
lvcreate -L 30M -n lvdata1 lvm0
mkfs.ext3 /dev/lvm0/lvdata1
mount /dev/lvm0/lvdata1 /home

6.LVM VG확장
pvcreate  /dev/sda13
vgextend /dev/sda13 lvm0
vgdisplay -v

7.LVM LV 확장
umount /home
lvextend -L +10M /dev/lvm0/lvdata1
e2fsck -f /dev/lvm0/lvdata1
e2fsck -f /dev/lvm0/lvdata1
mount /dev/lvm0/lvdata1 /home

8.LVM LV 축소
mount /dev/lvm0/lvdata1 /home
resize2fs /dev/lvm0/lvdata1
lvreduce -L -10M /dev/lvm0/lvdata1
resize2fs /dev/lvm0/lvdata1

9./etc/passwd
pwconv
pwuconv

10.그룹
/etc/group
/etc/default/useradd
/etc/login.defs

Posted by 으랏차
,

ntsysv

IHD 2009. 5. 29. 00:47

※ NetworkManager, NetworkManagerDispatcher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몬

※ acpid
  - ACPI 방식의 시스템 전력 관리를 위한 데몬

※ anacron
  - crond와 같은 작업 스케줄러 데몬이지만 crond와는 달리 시스템이 계속 켜져있지 않다고 가정하여 하루보다 작은 단위의 스케줄을 관리

※ apmd
  - APM 데몬   -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노트북 등 휴대용 데스크톱에서 필요

※ atd
  - crond와 같은 작업 스케줄러 데몬

※ auditd
  - 감사기능을 활성화 하는 데몬. auditd 데몬이 실행되는 동안 auditing 변수, syscall 규칙, 파일 시스템 감시(watch) 작업을 수행.

※ autofs
  -파일 시스템을 자동으로 마운트하기 위한 데몬

※ avahi-daemon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식하는 멀리캐스트 DNS 서비스 Avahi 데몬

※ avahi-dnsconfd
  -DNS 재설정 기능을 위한 데몬

※ bluetooth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데몬

※ capi
  -ISDN카드와의 연결을 위한  isdn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데몬

※ chargen  -dgram
  -chargen의 UDP 버전 서버

※ chargen  -stream
  -chargen의 TCP 버전 서버

※ conman
  -여러 콘솔 장치를 관리, 지원하는 데몬

※ cpuspeed

  -전력 소모량을 기반으로 CPU 스피드를 조절.

※ crond
  -작업 스케줄러 cron 데몬

※ cups
  -리눅스의 기본 출력 시스템인 CUPS데몬

※ cvs
  -소스 디렉토리의 계층적 수집을 위해 소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몬

※ daytime-dgram
  -daytime의 UDP 버전 서버. UDP포트 13을 사용

※ daytime-stream
  -daytime의 TCP 버전 서버. daytime은 클라이언트의 질의에 응답하여 아스키 형태로 현재 시간과 날짜를 출력하는 데몬. TCP 포트 13을 사용

※ dc client
  -로컬서비스의 제공에 의해서 원격캐시 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프록시를 실행하는 데몬

※ dc server
  -연결을 위해 구성 가능한 네트워크 주소를 수신대기하거나 캐시서버를 실행하느 데몬

※ discard-dgram

※ discard-stream

※ dnsmasq
  -Local 에 dns 쿼리를 임시 저장(캐싱) 하도록 하면 네임서버의 부하를 줄일수 있다.

※ dovecot
  -리눅스와 유닉스 시tm템처럼 IMAP 및 POP3 서버에 사용하는 보안과 안정성이 뛰어난 메일 서버 데몬

※ dund
  -전화접속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서비스 데몬

※ echo-dgram
  -echo 의 UDP 버전 서버

※ echo-stream
  -echo 의 TCP 버전 서버

※ eklogin
  -암호화 Kerberos rlogin서버로서 Kerberos 인증시스템을 이용하는 원격로그인 서버인 klogin을 암호화하는 데몬 ...

※ ekrb5-telent

※ firstboot
  -첫번째 부팅을 위한 서비스. 첫번째 부팅을 선택하는건 멀티부트로더를 통해서도 가능

※ gpm
  -콘솔 환경에서 마우스 지원을 위해 필요한 데몬

※ gssftp
  -kerberized ftp 서버 케베로스 5를 가지고 암호화
※ hal daemon
  -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HAL 데몬

※ hidd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할 때 필요한 불루투수 ID 데몬

※ hplip
  -HP사 제품의 출력을 위한 데몬

※ httpd
  -웹서버 데몬

※ ibmasm
  -iBM 시스템 관리 드라이버들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툴을 포함한 데몬

※ innd
  -유즈넷 뉴스 서버로 지역 뉴스서버를 설정하는 데몬

※ ip6tables
  -RHEL은 넷필터 6 서브시스템 및 ip6tables명령을 사용하는 IPv6 방화벽 지원. 대부분 iptables와 동일하나 128 비트 주소를 사용함.

※ ipmi
  -시스템의 하드웨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해주는 데몬

※ iptables
  -방화벽, 매스커레이드 설정을 위한 iptables 데몬

※ irda
  -적외선 통신을 위한 irda 데몬

※ irqbalance
  -멀티프로세서에서 CPU간의 인터럽트를 분리하기 위한 데몬

※ isdn
  -ISDN 서비스를 위한 데몬

※ kdump
  -안정적인 덤프 생성 및 커널 크래시 덤프 캡쳐를 오류 원인을 추적하는데 도움을 주는 데몬

※ klogin
  -암호화 Kerberos rlogin서버로서 Kerberos 인증시스템을 이용하는 원격로그인 서버인 klogin을 암호화하는 데몬

※ krb5  -telnet

※ kshell
  -케베로스 5 인증, rshell 인증

※ kudzu
  -새로운 하드웨어가 추가되었을 때 검색을 위한 데몬

※ lvm2  -monitor
  -dmeventd(The Linux Kernel Device Mapper)를 사용하는 LVs(Linux Logical Volume Management)를 모니터링 하는 서비스 데몬

※ mcstrans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보안 환경 정보로 번역하는 시스템 데몬 (SELinux 환경에서 사용)

※ mysqld
  -MySQL 데이터베이스 데몬

※ mdmonitor
  -RAID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몬

※ mdmpd
  -다중 경로의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몬

※ messagebus
  -시스템 이벤트를 전송하기 위한 데몬

※ multipathd
  -다중 경로 장치에 대해 시스템 에 알려주고 이를 일치시키고 관리해 주는 데몬

※ mysqld
  -MySQL 데이터베이스 데몬


※ named
  -DNS 서버 데몬

※ netconsole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장치에 대한 것을 원격으로 syslog에 기록해 주는 데몬

※ netfs
  -삼바, NFS, NCP 등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기 위한 데몬


※ netplugd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했을 때 접속 여부를 리눅스 커널에게 알리기 위한 데몬

※ network
  -네트워크 데몬

※ nfs
  -유닉스와 리눅스의 기본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NFS 데몬


※ nfslock
  -NFS를 통해 공유되는 파일을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수정하는 것을 막기 위해 파일을 잠그는 데몬

※ nscd
  -네밍 서비스에 대한 요청 결과를 캐시해서 다음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데몬

※ ntpd
  -네트워크를 통해 리눅스 서버의 시간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Network Time Protocol 데몬

※ oddjobd
  -Bus system message bus를 통해 이행되는 최상위 작업에서 응답하는 최하위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해주는 데몬

※ pand
  -탭을 공백으로 변화시켜주는 데몬
※ pcscd
  -PC/SC 스마트 카드 데몬
※ portmap
  -원격 시스템 호출에 사용하는 데몬 (NFS, NIS를 사용할 때 필요)

※ postgresql
  -postgresql db에 관한 데몬

※ psacct
  -프로세스 통계를 확인하기 위한 psacct 데몬

※ rdisc
  -동적 라우팅에서 라우터를 자동으로 찾기 위한 RDISC 데몬

※ readahead_early
  -모든 데몬이 시작하기 전에 특정 파일을 사용하기에 앞서 메모리에 미리 불러들여 속도를 높이기 위한 데몬

※ readahead later
  -readahead_early 기능과 동일하게 작용하는 데몬

※ restorecond
  -SELinux 데몬과 관련된 서비스

※ rpcgssd
  -원격 인증을 위한 GSS 데몬

※ rpcidmapd
  -원격 이름 매핑을 위한 idmap 데몬

※ rpcsvcgssd
  -원격 인증을 위한 GSS 데몬

※ rsync
  -FTP 서버 사용에 필요한 데몬 (컴퓨터간 자료 공유를 위해서 사용되는 rsync에 대한 데몬)

※ rwhod

※ saslauthd
  -SASL을 이용한 암호화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데몬

※ sendmail
  -메일 서버 Sendmail 데몬

※ setroubleshoot
  -SELinux 트러블 슈팅에 필요한 툴 데몬

※ smartd
  -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데몬

※ smb
  -삼바 서버 데몬

※ spamassassin
  -스팸메일을 거르기 위한 스펨메일 필터 데몬

※ squid
  -프록시 서버 Squid 데몬

※ sshd
  -SSH 서버 데몬

※ syslog
  -시스템 로그를 관리하기 위한 syslog 데몬

※ tcpmux-server

※ time-dgram
  -time UDP 데몬

※ time-stream
  -time TCP데몬

※ tux
  -커널 기반의 스레드 http 서버

※ vncserver
  -원격접속을 위한 VNC 서버 데몬

※ vsftpd
  -tp 데몬

※ wdaemon
  -Wacom 타블렛 입력 장치 드라이버를 에뮬레이터 해주는 Hotplug 데몬

※ winbind
  -삼바 서버와 윈도우 간에 네트워크 공유를 위해 필요한 데몬

※ wpa_supplicant
  -무선 네트워크 접속에 사용되는 WPA 데몬

※ xfs
  -X윈도우의 폰트를 관리하기 위한 데몬

※ xinted
  -xinetd 방식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슈퍼 데몬

※ ypbin
  -NIS 서버 데몬

※ yum  -updatesd
  -온라인 패키지 관리도구 yum 데몬

'IHD'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8 (log 롼련)  (0) 2009.05.28
RHCE  (0) 2009.05.26
5/25  (0) 2009.05.26
swap 재설정정  (0) 2009.05.22
Posted by 으랏차
,

5.28 (log 롼련)

IHD 2009. 5. 28. 17:45
/etc/hosts

ip domain-name


/etc/syslog.conf

*.info    @domain-name

/etc/sysconfig/syslog

SYSLOGO_OPTIONS="-rm 0"


service syslog restart



'IH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sysv  (0) 2009.05.29
RHCE  (0) 2009.05.26
5/25  (0) 2009.05.26
swap 재설정정  (0) 2009.05.22
Posted by 으랏차
,

homework

카테고리 없음 2009. 5. 28. 00:53

* NetworkManager, NetworkManagerDispatche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몬

* acpid

ACPI 방식의 시스템 전력 관리를 위한 데몬

* anacron

crond와 같은 작업 스케줄러 데몬이지만 crond와는 달리 시스템이 계속 켜져있지 않다고 가정하여 하루보다 작은 단위의 스케줄을 관리

* apmd

APM 데몬 -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노트북 등 휴대용 데스크톱에서 필요

* atd

crond와 같은 작업 스케줄러 데몬

* auditd
감사기능을 활성화 하는 데몬. auditd 데몬이 실행되는 동안 auditing 변수, syscall 규칙, 파일 시스템 감시(watch) 작업을 수행.


* autofs

파일 시스템을 자동으로 마운트하기 위한 데몬


* avahi-daemon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식하는 멀리캐스트 DNS 서비스 Avahi 데몬


* avahi-dnsconfd

DNS 재설정 기능을 위한 데몬


* bluetooth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데몬

* capi
*chargen-dgram
*chargen-stream
*conman
*cpuspeed

전력 소모량을 기반으로 CPU 스피드를 조절.


* crond

작업 스케줄러 cron 데몬


* cups

리눅스의 기본 출력 시스템인 CUPS데몬

*cvs
*daytime-dgram
*daytime-stream
*dc client
*dc server
*discard-dgram
*discard-stream
*dnsmasq
*dovecot
*dund
*echo-dgram
*echo-stream
*eklogin
*ekrb5-telent
*firstboot


* gpm

콘솔 환경에서 마우스 지원을 위해 필요한 데몬

*gssftp
-------
* hal daemon

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HAL 데몬


* hidd

불루투스 장치를 사용할 때 필요한 불루투수 ID 데몬


* hplip

HP사 제품의 출력을 위한 데몬


* httpd

웹서버 데몬

*ibmasm
*innd
*ip6tables
*ipmi
* iptables

방화벽, 매스커레이드 설정을 위한 iptables 데몬


* irda

적외선 통신을 위한 irda 데몬


* irqbalance

멀티프로세서에서 CPU간의 인터럽트를 분리하기 위한 데몬


* isdn

ISDN 서비스를 위한 데몬

*kdump
*klogin
*krb5-telnet
*kshell

* kudzu

새로운 하드웨어가 추가되었을 때 검색을 위한 데몬

*lvm2-monitor
*mcstrans



*mysqld


* mdmonitor

RAID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몬


* mdmpd

다중 경로의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몬


* messagebus

시스템 이벤트를 전송하기 위한 데몬

*multipathd
----------
* mysqld

MySQL 데이터베이스 데몬


* named

DNS 서버 데몬

*netconsole
00000

* netfs

삼바, NFS, NCP 등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기 위한 데몬


* netplugd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했을 때 접속 여부를 리눅스 커널에게 알리기 위한 데몬


* network

네트워크 데몬


* nfs

유닉스와 리눅스의 기본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NFS 데몬


* nfslock

NFS를 통해 공유되는 파일을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수정하는 것을 막기 위해 파일을

잠그는 데몬


* nscd

네밍 서비스에 대한 요청 결과를 캐시해서 다음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데몬


* ntpd

네트워크를 통해 리눅스 서버의 시간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Network Time Protocol 데몬

*oddjobd
*pand
*pcscd

* portmap

원격 시스템 호출에 사용하는 데몬

*postgresql
---------


* psacct

프로세스 통계를 확인하기 위한 psacct 데몬


* rdisc

동적 라우팅에서 라우터를 자동으로 찾기 위한 RDISC 데몬



* readahead_early

모든 데몬이 시작하기 전에 특정 파일을 사용하기에 앞서 메모리에 미리 불러들여 속도를 높이기 위한 데몬

*readahead later
*restorecond


* rpcgssd

원격 인증을 위한 GSS 데몬


* rpcidmapd

원격 이름 매핑을 위한 idmap 데몬


* rpcsvcgssd

원격 인증을 위한 GSS 데몬

*rsync
*rwhod

* saslauthd

SASL을 이용한 암호화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데몬


* sendmail

메일 서버 Sendmail 데몬

*setroubleshoot

* smartd

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데몬


* smb

삼바 서버 데몬



* spamassassin

스팸메일을 거르기 위한 스펨메일 필터 데몬


* squid

프록시 서버 Squid 데몬


* sshd

SSH 서버 데몬


* syslog

시스템 로그를 관리하기 위한 syslog 데몬

*tcpmux-server
*time-dgram
*time-stream
*tux
*vncserver
*vsftpd
*wdaemon


* winbind

삼바 서버와 윈도우 간에 네트워크 공유를 위해 필요한 데몬


* wpa_supplicant

무선 네트워크 접속에 사용되는 WPA 데몬


* xfs

X윈도우의 폰트를 관리하기 위한 데몬


* xinted

xinetd 방식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슈퍼 데몬


* ypbin

NIS 서버 데몬


* yum-updatesd

온라인 패키지 관리도구 yum 데몬

Posted by 으랏차
,

>안녕하세요...

>초보 리눅서인데 리눅스 공부 중에 궁금한 사항이 생겨 이렇게 글쓰게 되었습니다.

>리눅스를 사용하시는 분들 중 기존 ssh포트를 변경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계시던데

>ssh 포트를 변경해 주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해서 글 올립니다..

>리눅스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럼 즐건 하루 보내세요~~^_^



일반적으로 well known port 는 , 해킹의 주요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TCP 포트중 잘 알려진 포트들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ftp: 21번, ssh: 22번, telnet: 23번, http: 80번


포트 스캐닝 프로그램으로 ,

특정사이트의 서비스를 확인해서 해킹을 하는 프로그램들도 있는 걸로 압니다.


well-known port

   <networking> A {TCP or UDP port with a number in the range
   0-1023 (originally 0-255).  The well-known port numbers are
   assigned by the IANA and on most systems can only be used by
   system (or root) processes or by programs executed by
   privileged users.

참조사이트: http://dict.die.net/wellknown%20port/


위의 정의처럼 잘알려진 포트는 1024 범위에 있습니다.

따라서 응용프로그램에서 자신만의 서비스를 하는 프로그램들은,

높은 숫자의 포트번호를 사용하지요.

(리눅스 파일 "/etc/services" 들을 보면 알수 있습니다. )

따라서 잘 알려진포트 (well-known port) 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보안 및 안전을 위해서 높은 포트로 변경해주기도 합니다.

이 때 다른 서비스와 겹치지 않도록 잘 설정해주세야 겠지요.

(포트번호는 16bit (SHORT) 이므로 0~65535 까지의 값이 가능합니다.)

Posted by 으랏차
,

test

exercise 2009. 5. 27. 13:11

VMnet0 : Bridge NIC

VMnet1 : Host Only

VMnet8 : NAT(Network Address Translate)

ifconfig : 네트워크 정보 확인

ifconfig [장치명] down : 장치 초기화

ifconfig eth0 down : eth0 장치 초기화

ifconfig [장치명] [IP Address] netmask [NetMask] broadcast [Broadcast] up

ifconfig [장치명] [IP Address] up


route add default gw 192.168.0.2 : default gw 추가

route del gw XXX.XXX.XXX.XXX : gw 삭제

route del default gw XXX.XXX.XXX.XXX : default gw 삭제


echo "nameserver 168.126.63.1" > /etc/resolv.conf ( 외부 DNS의 IP관리 해주는 파일 )


------------------------


eth1 : NAT[192.168.0.XX]

eth0 : NIC Bridge[192.168.123.2]


----------------------------


Boot Loader에서 BOOT명령을 변경 single user mode(1)로 바꿔준다.

passwd -d root


-------------------------


grub

md5crypt

password 적어주고

md5 받아온걸

vi /boot/grub/grub.conf에


hiddenmenu 밑에다가


password --md5 *#@()*@()*$()#@($@ 추가해줌


--------------------


perl -e 'print crypt("1234","\$1\$asdfghjk\$"),"\n"'


--------------------


ftp ftp.superuser.co.kr

~~~~

계정 : ftp

비번 : 암꺼나

hash : toggle printing '#' for each buffer transfer

lcd : change local working directory

prompt : force interactive prompting on multiple commands

mget : download multiple files


-----------------------------


netstat -atunp

a : all(전부)

t : tcp(tcp관련)

u : udp(udp 관련)

n : numeric(ip를 숫자로(지정안할시 DNS로)

p : program(프로그램 명)

ntsysv 에서 krb5-telnet 선택해주고

xinetd restart 해주면 telnet 설치됨


------------------------------


xinetd : 접속량이 많은것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서비스중에 요청이 오면 열어줌(80번 port요청시 그때 열림)

stand-alone : 접속량이 적은것들, 항상 서비스중(항상 80번 port 열려 있음)


-------------------------------


kill 옵션 없을시 15번

kill -9 강제 종료

killall 프로그램 이름으로 죽임


--------------------------------


ssh [서버아이피]

ssh -l [ID] [서버아이피]

ssh [ID]@[서버아이피]


sftp [서버아이피]

sftp [ID]@[서버아이피]


scp [옵션] [원본파일] [복사위치]

scp /tmp/client/bbb test@192.168.1.1:/tmp/server/aaa


--------------------------------


scp -r tmp/2 test@210.112.233.150:/test/scp


sftp test@210.112.233.150

sftp>mkdir 2

sftp>put /tmp/2/2 /test/sftp/2/


ssh test@210.112.233.150

$>scp -r root@내아이피:tmp/2 /test/ssh/2

--------------------------------


su [변경할 계정명]


---------------------------------


ps -axf


----------------------------------


fdisk /dev/hdb

m : 메뉴

p : print the partition table

n : add a new partition

t : change the partition system id

blocks에 +가 붙은넘은 실린더 사이즈가 정확이 나눠떨어지지 않은상태(오바됬음)


물리파티션 : 4개

확장파티션 : 1개

논리파티션 : 64개


# fdisk

# reboot

# mkfs [ 포멧과 같음 ][-t 옵션으로 파일시스템 지정]


# mount

# umount


lost+found : 파티션 마다 1개씩 생성됨[ 시스템의 오류(file, system, memory)시 kernel이 복구할때 lost+found에 저장됨 ]


-------------------------------------------------------------------


kudzu : 장치 연결 확인

# kudzu --probe --class=cdrom 또는 -p -c cdrom


# mount -t iso9660 /dev/hdc /safjdkle/ [ iso9660 은 cdrom 파일 시스템 ]

# eject [ 시디롬 튀어 나옴..-_-;; ]

# eject -t [ 시디롬 들어가~ ]


-------------------------------------------------------------


# kudzu --probe --class=floppy


mkfs -t ext2 /dev/fd0

mount -t ext2 /dev/fd0 /asdjfkles/

fdformat /dev/fd0h1440


------------------------------------------------------------


well-known port : 1~1023

private(privile) port : 1024~65535

/etc/services/


-----------------------------------


mkfs -t [파일시스템타입] [파티션번호]


----------------------------------------------------------------


ftp 기본 port : 21

ftp 접속시 port : 20


/etc/rc.d/init.d/vsftpd

/etc/vsftpd/vsftpd.conf

/usr/sbin/vsftpd


# chroot /mnt


############# chroot ######### 가상 Root

# chroot_local_user=yes  // 가상루트 쓰겟소?

# chroot_list_enable=yes // 가상루트에서 제외할 사용자 목록 쓸텨?

#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 user_list??) // 제외할 사용자 목록

// chroot_local_user=no 일때는 chroot_list_enable은 "가상루트에 적용할 사용자 목록 쓸텨?" 로 바뀐다.

############################

############# userlist ######## 접근제한

# userlist_enable=yes // 사용자 목록 쓰겟소?

# userlist_deny=no // 사용자 목록을 거부자목록으로 쓸텨?

# userlist_file=/etc/vsftpd/userlist // 목록의 위치
############################

############# etc ###########

# 바이트 단위

# local_max_rate=5000000 // 로컬 아이디에 대한 속도 제한

# anon_max_rate=500000 // 익명 아이디에 대한 속도 제한

# max_clients= 5 // 제한 connection

# max_per_ip= 2 // 한 아이피당 접속

############################


-------------------------------------------------------------------------------------------


ftp 실습


chroot_local_user=no

chroot_list_enable=yes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userlist_enable=yes

userlist_deny=yes

userlist_flie=/etc/vsftpd/userlist


local_max_rate=1

anon_max_rate=1

max_clients=5

max_per_ip=3


chroot_list

[

ftpadmin

ftpuser1

ftpuser2

ftpuser3

ftpuser4

ftpuser5

ftp

]


userlist

[

ftpuser5

]


#groupadd ftps

#useradd -d /ftpdata/ -g ftps ftpadmin

#useradd -d /ftpdata/local -g ftps ftpuser1

#useradd -d /ftpdata/local -g ftps ftpuser2

#useradd -d /ftpdata/local -g ftps ftpuser3

#useradd -d /ftpdata/local -g ftps ftpuser4

#useradd -d /ftpdata/local -g ftps ftpuser5


# fdisk ( 파티션 2개 생성 )

# reboot

# mkfs -t ext3 /dev/hdb1

# mkfs -t ext3 /dev/hdb2

# mount -t ext3 /dev/hdb1 /ftpdata/local

# mount -t ext3 /dev/hdb2 /ftpdata/anon


# chgrp ftps /ftpdata/

# chown ftpadmin /ftpdata/

# cd ftpdata

# chgrp ftps anon/

# chgrp ftps local/

# chown ftpadmin anon/

# chown ftpadmin local/

# chmod 1775 local/


끝인가? 끝인듯;


# chown -R ftpadmin:ftps /ftpdata    // 해주면 밑의 디렉토리와 파일들의 소유주가 바뀜

                  user     :group


------------------------------------------------------------------------


samba

netbios프로토콜 2가지(139,445)

smb(Server Message Block)프로토콜은 139를 사용한다.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


samba-3.0.14a-2.i386.rpm

samba-common-3.0.14a-2.i386.rpm

samba-client-3.0.14a-2.i386.rpm

samba-swat-3.0.14a-2.i386.rpm


samba-3.0.14a-2.i386.rpm

[

/etc/rc.d/init.d/smb

/usr/sbin/smbd

/usr/sbin/nmbd

]


samba-common-3.0.14a-2.i386.rpm

[

/etc/samba/smb.conf

]


samba-client-3.0.14a-2.i386.rpm

[

/usr/bin/smbclinet

]


smbd - ip 통신용

nmbd - 이름 통신용

smb - 시작용

smb.conf - 설정용(Global, Share)

smbclient - 삼바접속 명령어


-_-;;;;;;;;

smb.conf 파일 내용


# This is the main Samba configuration file. You should read the
# smb.conf(5) manual p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options listed
# here. Samba has a huge number of configurable options (perhaps too
# many!) most of which are not shown in this example
#
# Any line which starts with a ; (semi-colon) or a # (hash)
# is a comment and is ignored. In this example we will use a #
# for commentry and a ; for parts of the config file that you
# may wish to enable

# #은 설명, ;은 명령 이란 말
#
# NOTE: Whenever you modify this file you should run the command "testparm"
# to check that you have not made any basic syntactic errors.
#
#======================= Global Settings =====================================
[global]

# workgroup = NT-Domain-Name or Workgroup-Name
   workgroup = MYGROUP //작업그룹 마춰준다.

# server string is the equivalent of the NT Description field
   server string = Samba Server //컴퓨터 이름

# This option is important for security. It allows you to restrict
# connections to machines which are on your local network. The
# following example restricts access to two C class networks and
# the "loopback" interface. For more examples of the syntax see
# the smb.conf man page

// 허용할 IP 192.168.1.0(255.255.255.0) 192.168.2.0(255.255.255.0) 127.0.0.0(255.0.0.0)

// 모든 아이피를 다 적으주면 특정아이피만

// 대역을 적어주면 대역전체(해보니까 안되는데..;;)
;   hosts allow = 192.168.1. 192.168.2. 127.

# if you want to automatically load your printer list rather
# than setting them up individually then you'll need this
   printcap name = /etc/printcap // 공유프린터
   load printers = yes

# It should not be necessary to spell out the print system type unless
# yours is non-standard. Currently supported print systems include:
# bsd, sysv, plp, lprng, aix, hpux, qnx
;   printing = cups

# This option tells cups that the data has already been rasterized
cups options = raw

# Uncomment this if you want a guest account, you must add this to /etc/passwd
# otherwise the user "nobody" is used
;  guest account = pcguest // 익명계정 사용시 익명계정정보(nobody쓰기 싫으면 passwd에 추가(no shell, no password)

# this tells Samba to use a separate log file for each machine
# that connects
 log file = /var/log/samba/%m.log // 각각의 호스트 별로 로그 파일(%m : host name 또는 ip address)
# all log information in one file
#   log file = /var/log/samba/log.smbd // 하나에 파일에 로그 저장

# Put a capping on the size of the log files (in Kb).
   max log size = 50 // 로그파일의 최대 사이즈(초과시 백업시키고 새로운파일 생성)

# Security mode. Most people will want user level security. See
# security_level.txt for details.

// 인증방식(user[리눅스형 인증], share[무인증], server[server는 Domain server가 필요함(다른 시스템에서 인증받겠다])

// user시 /etc/passwd, /etc/smbpasswd(smbusers)에 사용자가 등록되어져 있어야함
   security = user
# Use password server option only with security = server
;   password server = <NT-Server-Name>

# Password Level allows matching of _n_ characters of the password for
# all combinations of upper and lower case.
;  password level = 8
;  username level = 8

# You may wish to use password encryption. Please read
# ENCRYPTION.txt, Win95.txt and WinNT.txt in the Samba documentation.
# Do not enable this option unless you have read those documents

// 삼바는 window의 계정명만 이용 비밀번호는 smbpasswd에 따로 저장한다.
;  encrypt passwords = yes // 시스템에 계정등록(등록만)이 되어 있어야함
;  smb passwd file = /etc/samba/smbpasswd // 계정을 samba용 암호파일로 만들어야함

# The following are needed to allow password changing from Windows to
# update the Linux system password also.
# NOTE: Use these with 'encrypt passwords' and 'smb passwd file' above.
# NOTE2: You do NOT need these to allow workstations to change only
#        the encrypted SMB passwords. They allow the Unix password
#        to be kept in sync with the SMB password.
;  unix password sync = Yes
;  passwd program = /usr/bin/passwd %u
; passwd chat = *New*UNIX*password* %n\n *ReType*new*UNIX*password* %n\n *passwd:*all*authentication*tokens*updated*successfully*

# Unix users can map to different SMB User names
;  username map = /etc/samba/smbusers

# Using the following line enables you to customise your configuration
# on a per machine basis. The %m gets replaced with the netbios name
# of the machine that is connecting
;   include = /etc/samba/smb.conf.%m

# Most people will find that this option gives better performance.
# See speed.txt and the manual pages for details
   socket options = TCP_NODELAY SO_RCVBUF=8192 SO_SNDBUF=8192

# Configure Samba to use multiple interfaces
# If you have multiple network interfaces then you must list them
# here. See the man page for details.

// 서버에 구성되어 있는 랜카드 정보(아이피를 적어준다.) CIDI표기법(/뒤는 netmask, 255.255.255.0)
;   interfaces = 192.168.12.2/24 192.168.13.2/24

# Configure remote browse list synchronisation here
#  request announcement to, or browse list sync from:
# a specific host or from / to a whole subnet (see below)
;   remote browse sync = 192.168.3.25 192.168.5.255
# Cause this host to announce itself to local subnets here
;   remote announce = 192.168.1.255 192.168.2.44

# Browser Control Options:
# set local master to no if you don't want Samba to become a master
# browser on your network. Otherwise the normal election rules apply
;   local master = no

# OS Level determines the precedence of this server in master browser
# elections. The default value should be reasonable
;   os level = 33

# Domain Master specifies Samba to be the Domain Master Browser. This
# allows Samba to collate browse lists between subnets. Don't use this
# if you already have a Windows NT domain controller doing this job
;   domain master = yes

# Preferred Master causes Samba to force a local browser election on startup
# and gives it a slightly higher chance of winning the election
;   preferred master = yes

# Enable this if you want Samba to be a domain logon server for
# Windows95 workstations.
;   domain logons = yes

# if you enable domain logons then you may want a per-machine or
# per user logon script
# run a specific logon batch file per workstation (machine)
;   logon script = %m.bat
# run a specific logon batch file per username
;   logon script = %U.bat

# Where to store roving profiles (only for Win95 and WinNT)
#        %L substitutes for this servers netbios name, %U is username
#        You must uncomment the [Profiles] share below
;   logon path = \\%L\Profiles\%U

# All NetBIOS names must be resolved to IP Addresses
# 'Name Resolve Order' allows the named resolution mechanism to be specified
# the default order is "host lmhosts wins bcast". "host" means use the unix
# system gethostbyname() function call that will use either /etc/hosts OR
# DNS or NIS depending on the settings of /etc/host.config, /etc/nsswitch.conf
# and the /etc/resolv.conf file. "host" therefore is system configuration
# dependant. This parameter is most often of use to prevent DNS lookups
# in order to resolve NetBIOS names to IP Addresses. Use with care!
# The example below excludes use of name resolution for machines that are NOT
# on the local network segment
# - OR - are not deliberately to be known via lmhosts or via WINS.
; name resolve order = wins lmhosts bcast

# Windows Internet Name Serving Support Section:
# WINS Support - Tells the NMBD component of Samba to enable it's WINS Server
;   wins support = yes

# WINS Server - Tells the NMBD components of Samba to be a WINS Client
# Note: Samba can be either a WINS Server, or a WINS Client, but NOT both
;   wins server = w.x.y.z

# WINS Proxy - Tells Samba to answer name resolution queries on
# behalf of a non WINS capable client, for this to work there must be
# at least one WINS Server on the network. The default is NO.
;   wins proxy = yes

# DNS Proxy - tells Samba whether or not to try to resolve NetBIOS names
# via DNS nslookups. The built-in default for versions 1.9.17 is yes,
# this has been changed in version 1.9.18 to no.
   dns proxy = no

# Case Preservation can be handy - system default is _no_
# NOTE: These can be set on a per share basis
;  preserve case = no
;  short preserve case = no
# Default case is normally upper case for all DOS files
;  default case = lower
# Be very careful with case sensitivity - it can break things!
;  case sensitive = no

#============================ Share Definitions ==============================

// 수많은 예제 들이다..그냥 예제임
[homes]
   comment = Home Directories
   browseable = no
   writable = yes

# Un-comment the following and create the netlogon directory for Domain Logons
; [netlogon]
;   comment = Network Logon Service
;   path = /home/netlogon
;   guest ok = yes
;   writable = no
;   share modes = no


# Un-comment the following to provide a specific roving profile share
# the default is to use the user's home directory
;[Profiles]
;    path = /home/profiles
;    browseable = no
;    guest ok = yes


# NOTE: If you have a BSD-style print system there is no need to
# specifically define each individual printer
[printers]
   comment = All Printers
   path = /var/spool/samba
   browseable = no
# Set public = yes to allow user 'guest account' to print
   guest ok = no
   writable = no
   printable = yes

# This one is useful for people to share files
;[tmp]
;   comment = Temporary file space
;   path = /tmp
;   read only = no
;   public = yes

# A publicly accessible directory, but read only, except for people in
# the "staff" group
;[public]
;   comment = Public Stuff
;   path = /home/samba
;   public = yes
;   read only = yes
;   write list = @staff

# Other examples.
#
# A private printer, usable only by fred. Spool data will be placed in fred's
# home directory. Note that fred must have write access to the spool directory,
# wherever it is.
;[fredsprn] // 공유이름
;   comment = Fred's Printer
;   valid users = fred
;   path = /homes/fred // 공유위치
;   printer = freds_printer
;   public = no
;   writable = no
;   printable = yes

# A private directory, usable only by fred. Note that fred requires write
# access to the directory.
;[fredsdir]
;   comment = Fred's Service
;   path = /usr/somewhere/private
;   valid users = fred
;   public = no
;   writable = yes
;   printable = no

# a service which has a different directory for each machine that connects
# this allows you to tailor configurations to incoming machines. You could
# also use the %u option to tailor it by user name.
# The %m gets replaced with the machine name that is connecting.
;[pchome]
;  comment = PC Directories
;  path = /usr/pc/%m
;  public = no
;  writable = yes

# A publicly accessible directory, read/write to all users. Note that all files
# created in the directory by users will be owned by the default user, so
# any user with access can delete any other user's files. Obviously this
# directory must be writable by the default user. Another user could of course
# be specified, in which case all files would be owned by that user instead.
;[public]
;   path = /usr/somewhere/else/public
;   public = yes
;   only guest = yes
;   writable = yes
;   printable = no

# The following two entries demonstrate how to share a directory so that two
# users can place files there that will be owned by the specific users. In this
# setup, the directory should be writable by both users and should have the
# sticky bit set on it to prevent abuse. Obviously this could be extended to
# as many users as required.
;[myshare]
;   comment = Mary's and Fred's stuff
;   path = /usr/somewhere/shared
;   valid users = mary fred
;   public = no
;   writable = yes
;   printable = no
;   create mask = 0765


[share]

comment = asdf

path = /

writeable = yes

guest ok = yes

가 기본임


--------------------------------------------------------------------------------------


smbclient 로 접속 실패 ㅠ 다른데는 잘됨..네트워크 문제 인듯


---------------------------------------------------------------------------------------


쌈바에서 계정 사용하기


security = user 로 바꿈


/etc/passwd 에 계정[test]이 등록되어져 있어야함


# smbpasswd -a test [ 계정 추가(-a) smbpasswd에 ]

# smbclient '\\localhost\share' -U test


----------------------------------------------------------------------------------------


smbmount


# smbmount //localhost/share /tmp -o username=test,passwd=111111


-----------------------------------------------------------------------------------------


findsmb : 공유디렉토리 목록이 나온다.(내 네트워크 환경 같은거...)


smbclient -L 아이피 : 어떤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있는지 보여줌


---------------------------------------------------------------------------------------


> net share  [ =  smbclient -L 아이피 ]

> net share D$ /delete

::: 윈도우용 :::;;ㅋㅋ


----------------------------------------------------------------------------------------


NFS : Network File System , RPC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인증이 없음

rpc.nfsd : NFS 데몬

rpc.mountd : rpc mount 데몬

portmap : portmapper 서버 데몬(rpc기반의 서비스들에게 포트를 제공해줌)

/etc/exports : 마운트를 허용한 디렉토리와 사용옵션 nfs 설정파일


서버 : nfs-utils-1.0.7-8.i386.rpm, portmap-4.0-65.i386.rpm

클라이언트 : portmap-4.0-65.i386.rpm


mount -t nfs 아이피:서버폴더 /클라이언트폴더


-----------------------------------------------------------------------------------------


아이피 설정법

1. 쉘스크립트로 만들어주고

/etc/rc.d/rc3.d/같은데에다가

ln -s 스크립트파일 /etc/rc.d/rc3.d/S99network 같이 하면됨


2. .bashrc 같은 로그인시 실행파일에 스크립트파일을 실행하게 끔 한다.


3.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같은거 수정해줌..

BOOTPROTO=static 또는 dhcp(static일때 밑에것들 씀)

IPADDR=

NETMASK=

GATEWAY=

에다가..


4. 툴..

setup 또는 netconfig


스테틱으로 바꿀때(영구적으로) 서비스를 재시작 해주어야 함../etc/rc.d/inti.d/network restart


--------------------------------------------------------------------------------------


chkconfig --list ( 현제 서비스들을 확인한다. ), xinetd에 속한 녀석들도 볼수 있다.


chkconfig --level 345 smb on 하면 3,4,5 레벨 부팅시 서비스가 실행된다.


----------------------------------------------------------------------------------


NFS


==서버==

패키지 : portmap, nfs-utils

설정파일 : exports


==클라이언트==

패키지 : portmap

설정파일 : /etc/fstab ( file system tab;;;; )( 디스크 관리 )


==/etc/exports==

[마운트 디렉토리]        [허용할 NFS클라이언트](설정옵션)

/neftest                     192.168.0.0/255.255.255.0(rw)                           [(rw뒤에 root-squash가 숨어잇음..) (rw,root-squash)]

;이래 하고 파일 만들어보면 4294967294로 됨...-ㅁ-;(anonymous)


==포트확인==(rpc를 사용하는 녀석들용)

rpminfo -p


squash(짓누르다), root-squash(root를 짓누르다..-_-)


서버의 디렉토리의 퍼미션 변경시..

클라이언트에서 mount시 클라이언트의 디렉토리의 퍼미션이 변경됨


==/etc/exports==

/nfstest          192.168.0.0/255.255.255.0(rw,no_root_squash,sync)        [이래 하고 파일 만들어보면 root로 됨]


# exportfs -ra   ; 변경된 exports파일 적용..


------------------------------------------------------------------------------------


사용자용 nfs


mount 같은 명령어 사용시 -t같은 옵션을 줄때는 사용자(root를 제외한) 계정들은 사용하지 못한다.


그래서 /etc/fstab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준다.


192.168.0.31:/nfstest1      /nfs-client1     nfs      defaults,user     0 0            ; 추가 시켜줌


------------------------------------------------------------------------------------------


첨부파일 exports 는 서버에

첨부파일 fstab 은 클라이언트에..


서버에는 exports가 없어도 된다.


만약 root, test로 클라이언트에서 로그인 하여...


서버의 nfstest  (퍼미션 757) => 클라이언트의 nfs-client에 마운트

서버의 nfstest1  (퍼미션 757) => 클라이언트의 nfs-client1에 마운트


상태에서....root 와 test 둘다 각각의 방에


-----------------------------------------------------------------------------------


dd : disk dump(고스트와 비슷)


-----------------------------------------------------------------------------------


/etc/exports 에서 옵션에서 default에 no_all_squash 가 기본적으로 붙는다.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접속시 익명으로 만들어주는법

/etc/exports 에서 옵션에 all_squash,anonuid=700,anongid=700 을 추가 시켜준다.


왜 방 gid uid를 700으로 바꿧나..

gid uid에 맞는것이 있으면 그걸로 보이는데 이렇게는 원래 안쓰는건가


-------------------------------------------------------------------------------------


NAT(Network Address Translate)

- SNAT(Source Network Address Translate)

   ㅁ 공유기, 출발하는 주소(사설아이피)를 공인아이피로 바꿔줌

- DNAT(Destination Network Address Translate)

   ㅁ 공유기


-------------------------------------------------------------------------------------



/proc/sys/net/ipv4/ip_forward

: 1은 활성화 2는 비활성화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s 192.168.2.0/24 -o eth0 -j SNAT --to 210.112.233.132

-t nat ( NAT을 사용하것다. )

-A POSTROUTING ( 패킷의 경로가 결정된 후에 )

-s 192.168.2.0/24 ( 이와 관련된 모드아이피 로 )

-o eth0 ( eth0 으로 나갈때 )

-j SNAT

--to 210.112.233.132


192.168.2. 대의 아이피로 나갈때 210.112.233.132 로 바꿔라


--------------------------------------------------------------------------------------------------------


# iptables -t nat -L               : 방화벽 정책 목록 확인

# iptables -t nat -L --line      : 방화벽 정책에 행번호 표시

# iptables -t nat -D POSTROUTING X  : 정책 삭제( X : 몇번째 정책 )

                            PREROUTING X

# iptables -t nat -F               : 방화벽 정책 초기화


--------------------------------------------------------------------------------------------------------


DNAT(목적지 주소변경)


PREROUTING : 패킷의 경로가 결정되기 이전.


# iptables -t nat -A PREROUTING -i eth0 -d 210.112.233.132 -p tcp --dport 21 -j DNAT --to 192.168.2.3:21


# echo "1" > /proc/sys/net/ipv4/ip_forward


---------------------------------------------------------------------------


/etc/dhcpd.conf


ddns-update-style none;

subnet < Network Address > netmask < Netmask >   ; < Network Address > : 서버 브릿지의 아이피 대역, < Netmask > : 서버의 넷마스크

{

option routers  < Gateway Address >;         ; < Gateway Address > : 서버 브릿지의 아이피

option subnet-mask < Netmask Information >;       ; 서버의 넷마스크 적어줌

rage dynamic-bootp < Start IP > < End IP >;      ; 범위...서버...브릿지의 아이피가 포함되면 안됨

option domain-name-servers < DNS Server IP Address >;       ; DNS 아이피 저장

default-lease-time  < Second >;         ; 임대 기본 시간 설정

max-lease-time  < Second >;        ; 최대 임대 시간 설정

}


host ns

{

hardware Ethernet < MAC Address >;    ; DHCP 서버중에 고정아이피를 위함..(맥어드레스가 같으면 밑의 아이피를 줌)

fixed-address < Static IP Address >;

}


--------------------------------------------------------------------------------


DNS


/etc/host.conf/

order hosts,bind    ; 먼저 /etc/hosts한테 보고 없으면 bind( /etc/resolv.conf ) 에게 물어봐라


Recursive 방식의 DNS : 끝까지 확실하게 처리 해줌

Interactive 방식의 DNS : 모르면 땡 ( 다른  서버에게 문의 하지 않는다. )


/etc/sysconfig/named    : bind-chroot 설치시 깔림 ( 네임서버 시작시 제일먼저 읽는 파일 )

                                    : /var/named/chroot/ 가 DNS 서비스의 가상루트가됨


/etc/named.conf


zone "도메인 이름" IN {          ; zone( 정방향 조회라는 뜻)

  type hint 또는 master 또는 slave ;

  file "파일명" ;         options 의 directory에 생성될 "도메인 이름"의 상세설정 파일

  allow-update { ip 주소 또는 none } ;   2차 네임 서버 주소, 없다면 none으로 설정



/var/named/chroot/var/named/파일명

$TTL 86400

@         IN SOA     @    makkolli!!!.gmail.com (

                                       42      ; serial (d. adams) ; 2차 DNS에게 업데이트 여부만을 확인시켜줌

                                       3H     ; refresh ; 3시간 마다 다시 읽음

                                       15M   ; retry  ; 안되면 15분마다 확인하고

                                       1W     ; expiry  ; 1주가 넘어가면 없에 버림

                                       1D  )  ; minimum

            IN NS       ns.makkolli.wo.tc.

            IN A         210.112.233.13

            IN AAAA   ::1            ; ipv6에 관한 내용


www    IN A 210.112.233.12

ftp        IN A 210.112.233.11


@ : zone에서 지정했던 도메인 이름

Posted by 으랏차
,

RHCE

IHD 2009. 5. 26. 13:01
1. 디스크 파티션 이해 및 Red Hat Linux 설치시 파티션 툴의 사용 방법
2. Red Hat Linux 설치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 및 능력, 특히 네트워크 설치
3. 설치시 구성 요소에 관한 이해 (LILO/GRUB, authentication, networking, system initialization, packages 등)
4. 설치 옵션의 post-installation 구성 방법에 관한 이해
5. Red Hat Linux 파일시스템 레이아웃 이해
6. script가 하는 일 및 /etc/sysconfig/network-scripts 파일 구성에 대한 이해
7. multiple-boot 설치에의 다양한 접근 방법 이해 및 때때로 multiple-boot 설치에 사용되는 관련 설치 툴(rawrite, fips)
8. kickstart 설치 기본 이해 (kickstart file, floppy- vs. network-based, installation media, boot disk preparation, etc.)
9. rpm 명령어 및 switch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특히 설치 및 querying of package에 관계된 것.
10. 기본적인 source(*.src.rpm) rpm packages 요소에 대한 이해
11. system recovery를 위한 rescue 환경으로의 부팅 방법 및 사용법
12. 여러 종류의 user account 생성법
13. user 환경 구성법
14. system and user bash configuration files
15. quotas, quota concepts 이해 및 user, group quotas 방법
16. cron system 이해 및 cron을 사용해서 scheduled jobs를 셋팅하는 방법
17. 필수 커널 개념 이해 (monolithic vs. modular kernels, initial ramdisks, etc)
18. 커널 소스 설치 및 Linux 커널을 rebuild하기 위해 필요한 개발 툴
19. 소스로 부터 Linux 커널과 모듈을 구성, build, 설치하는 법. LILO/ GRUB 요소, 부팅 절차 및 구성에 대한 이해
20. Apache, Samba, NFS, basic sendmail, POP3/IMAP4 email, DNS, and ftp 등 network services에 대한 이해
21. 기본적인 troubleshooting을 할 수 있도록 그런 서비스의 function, configuration, logging에 대한 충분한 이해 필요
22. 위의 서비스를 위한 access 제한 방법
23. Red Hat Linux에서 지원되는 다른 network services : squid, innd NNTP server, xntpd, etc.
24. 일반적인 X 이해 및 특히 XFree86 X server에 대한 이해. (configuration file 및 그 파일을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툴 포함)
25. Red Hat Linux 상에서 가능한 윈도우 매니저와 데스크탑 환경 선택 및 방법 이해
26. remote login과 remote client를 포함한 remote로 X 사용하기
27. xinetd 역할 이해 및 tcp_wrappers 보안 방법의 실행법 이해
28. 기본적인 NIS 개념 이해 및 NIS와 관련된 components.
29. PAM subsystem의 목적 이해, 기본적인 PAM 구성 변경법
30. router로서의 Red Hat Linux 사용과 관련된 configuration issues : routing options, IP forwarding, and kernel configuration
31. 기본적인 firewall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iptables 사용하기, Red Hat Linux에서의 User Private Group scheme 이해

'IH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sysv  (0) 2009.05.29
5.28 (log 롼련)  (0) 2009.05.28
5/25  (0) 2009.05.26
swap 재설정정  (0) 2009.05.22
Posted by 으랏차
,